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죗값

허남설
허남설 인증된 계정 · 집과 동네, 땅에 관심 많은 기자
2023/08/10
ⓒrawkkim on Unsplash
우리의 아파트는 수명이 짧다. 30~40년을 버티지 못하고 '경축! 재건축' 현수막을 내건다. 저 콘크리트 덩어리에 무슨 문제가 생긴 걸까? 콘크리트는 100년, 아니 200년도 거뜬하다니까 그럴 리는 없다. 로마 시대 건설한 판테온 역시 콘크리트 건축물인데 2000년 가까이 그저 멀쩡하다.

문제는 콘크리트가 아니다. 콘크리트 벽 너머에 감춰져 평소엔 보이지 않는 설비(수도, 난방, 전기 등)가 낡으며 말썽을 부리기 때문이다. 지은 지 20~30년만 지나도 "녹물 나오는 집에서 어떻게 살란 말이냐"는 불만이 터져 나온다. 설비를 싹 바꿔주면 되는데, 설비만 쏙 바꾸는 건 안된다. 설비를 감추고 있는 콘크리트 벽을 다 깨부숴야 한다. 공사가 장난이 아니다. 20~30년마다 이 짓을 해야 하는데, 대체 유럽에 흔하다는 100년 넘은 집은 어떻게 가능한 걸까?

이 낭비는 다 우리가 아파트를 짓는 방식 때문에 생긴다. 인류 최초의 건축이라는 스톤 헨지, 서구 건축의 유전자를 뿌린 파르테논, 근대 건축의 논리를 선전한 빌라 사보아 모두 기둥에 바닥을 얹었는데, 우리의 아파트는 기둥이 아니라 벽체에 바닥을 얹는다. 무거운 바닥을 가느다란 기둥에 올리는 것보다, 평면에 골고루 퍼진 벽체에 올리는 게 훨씬 더 쉽고 빠르다. 건설 현장에서 속도는 곧 돈이다. 날마다 건설비로 '땡겨온' 자금에 붙는 이자는 불어나고, 현장 인부들 일당에 밥값이 줄줄 흘러나간다. 필사적으로 아파트를 빨리 짓기 위해 택한 게 벽식 구조다.
빌라 사보아ⓒWikimedia Commons(Alessio antonietti)
쉽고 빠를 뿐만 아니라 분양 수익도 더 벌어준다. 기둥식 구조와 비교해 한 층 올릴 때마다 '30센...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대학에서 건축을 배우고 건축회사를 다니다 갑자기 기자가 되었습니다. 책 <못생긴 서울을 걷는다>(글항아리•2023)를 썼습니다.
25
팔로워 169
팔로잉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