깎여나간 R&D 예산, 갈 곳 잃은 비전임 연구원
2023/09/11
“박사후 연구원(포닥)이 가장 문제예요. 자기 연구실만 예산이 부족한 거면 과의 다른 연구실이나 다른 학교 연구실에 이동하는 방안이라도 알아보겠는데, 다들 상황이 똑같을 거 아니에요?” – 수도권 대학 자연과학대 교수
“포닥 2년 계약으로 정출연(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하고 있는데 예산 부족으로 금년까지 하고 나가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상황은 이해가 되는 상황이고 세부상황까지 자세히 이야기를 들어서 귀책사유가 저에게 있는 건 아닌 것 같고 확실히 상황 상 나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계약은 2년이라 아직 1년 넘게 기간이 남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그냥 납득하고 사표 내는 게 맞는 건지 궁금하네요.” – 2023년 9월 6일 하이브레인넷 게시물 중
정부가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을 16.7% 삭감하기로 한 가운데, 여파가 박사후 연구원(포닥)과 학생 연구원 등 비전임 연구자에게 미치고 있다. 계약 기간이 남았음에도 계약 조기 종료를 권고 받았거나 계약 갱신을 하지 않기로 했다는 통보를 받은 경우가 많다.
석박사 채용정보 커뮤니티 ‘하이브레인넷’에 6일 올라온 글에 따르면, 예산 축소에 따른 비전임 연구자의 계약 조기 종료가 벌써 현실화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에 근무한다는 한 연구자는 “2년 계약을 했지만 예산 부족으로 올해까지만 근무하고 나가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연구자는 “정부 R&D 삭감에 따른 연파가 맞다”며 “다른 실도 똑같아서 다른 실 이동도 어려울 것 같고, 이미 있던 다른 실 포닥 역시 내보낸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또다른 연구원 역시 답글로 "1년 단위 계약 갱신을 하기로 하고 9월부터 정출연에서 포닥을 하고 있는데 자신 포함 계약기간 남은 포닥 분들 다 올해까지 일하고 나가기로 이야기됐다"고 말했다.
또다른 연구원 역시 답글로 "1년 단위 계약 갱신을 하기로 하고 9월부터 정출연에서 포닥을 하고 있는데 자신 포함 계약기간 남은 포닥 분들 다 올해까지 일하고 나가기로 이야기됐다"고 말했다.
박사후 연구원은 박사학위를 취득한 신진 연구자 상당수가 택하는 자리다. 학위를 취득한 ...
미국과 한국에서 기자상을 수상한 과학전문기자입니다. 과학잡지·일간지의 과학담당과 편집장을 거쳤습니다. '사라져 가는 것들의 안부를 묻다' '인류의 기원(공저)' 등을 썼고 '스마트 브레비티' '화석맨' '왜 맛있을까' '사소한 것들의 과학' '빌트' 등을 번역했습니다.
@착한호랑이 네. 말씀 감사합니다. 정부 예산 들어가는 사업이 많이들 그렇지만, 당연히 연구 쪽 정부 사업 중에도 비효율적이거나 나눠먹기로 볼 만한 것이 있겠지요. 그걸 자정한다는 건 아마 대다수 연구자들도 동의할 겁니다. 다만 방법이.. 예산의 갑작스런 축소가 맞는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선이 많습니다. 그런 사업을 가려낼 방법은 얼마든지 있을텐데, 그냥 전체 예산 총액을 줄였는데요. 시간 들여 차분히 가려내도 모자랄텐데 시간은 없고, 아마 문제가 있는 것보다는 자를 수 있는 것, 자르기 쉬운 것을 먼저 잘라낼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어요. 연구 쪽에서는 아무래도 기관 고유 과제 같은 게 먼저 잘릴 거고, 거기 관여하던 연구자 중에서는 전임이 아닌 비전임을 먼저 해촉하겠죠. 실제로 이런 순서로 진행되고 있는 듯 합니다. 그런 부분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김재경 감사합니다. 어디 이야기할 데 없는 분들이 많으실 거라 생각해서 기획했는데, 전에도 보면 굉장히 조심스러워하시더라고요. 지켜봐야겠습니다.
@규니베타 실제로 기관이나 대학 등에 있는 전임 연구원이나 교원들은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해요. 다른 나라도 비슷하다고.. 물론 인건비 줄이지 못하겠다고 고민하는 분들이 더 많으시겠지만요. 다만 그 축소가 너무 갑작스럽고 규모도 크며 명분에 맞는 절차는 아닌 듯 해 현장에서 혼란과 걱정이 많습니다. 잘 풀면 물론 좋겠지만, 그러자면 노력이 많이 필요할 듯 해요.
@JACK alooker 좋은 지적이십니다. 말씀처럼 비효율이나 부조리가 없었다고 보긴 어렵죠. 다만 그런 나눠먹기는 연구계만 있는 일은 아니고 정부 돈 들어가는 사업에는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비효율일 듯 합니다. 연구에서라도 그걸 없애겠다면, 문제가 되는 사업을 찾아 도려내는 식으로 진행되면 될텐데, 갑작스럽게 전체 예산이 삭감되다 보니 문제 해결은 안 되고 가장 약자부터 피해를 보는 상황이에요. 좀 더 계획적으로 진행됐더라면 취지가 이해도 되고 공감도 얻으며 진행됐을텐데 아쉽죠.
@착한호랑이 그냥 넘어갈 수가 없는 발언인데요. 연구개발비가 없으면 연구자는 뭘 먹고 사나요. 이슬을 먹고 사나요? 이공계나 인문계나 지금도 직장인보다 못벌면서 연구하는 사람이 태반입니다.
그리고 기초과학분야 등의 연구분야의 경우, 원래 더 대우가 좋아야 합니다. 지금 착한호랑이님이 쓰시는 기기가 아이폰이건 갤럭시건, 설령 다른 나라 핸드폰이건 기초과학 연구의 결과물이거든요. 국가 핵심 경쟁력인 인재들이 월급을 못받으면 해외로 나가고 이는 결국 인재유출 경쟁력 상실이죠.
세상에 순수한 연구자는 없습니다. 자본주의 아래에서 돈을 벌어야 하는 사람 이후에 연구자가 있죠.
삭감 시킨 원인을 과연 몰라서 그럴까요? 왜 삭감시켰을까요? 알고서 공감 받으려고 약자 코스프레 하는 것일까요? 단물 빨아먹던 곳에 돈이 줄어드니 하위직 핑계 삼는 카르텔이 예산 삭감되었다고 징징대는.. 그러면서 자기들 몫은 못 버리니 하위직을 잘라버리는...아직 멀었습니다. 스스로 자정하지 않고서는 스스로를 돌아보지 못 한다면 그냥 단물 빨아 먹는 기생충밖에 안됩니다. 정말 열심히 연구하시는 분들에게 미안하지 않으신가요? 연구개발비가 목적이 아닌 진실된 연구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정말 심각하게 보고 있던 문제인데,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 곳에서 목소리가 모일 수 있도록 공유하겠습니다.
원래 ᆢ 제일 힘없는 하부 직원들이 제일 먼저 잘리죠
그러면서 예산 절감했다고 기관장들은 보너스 타가고 말이죠
포닥 연구원 뿐만 아니라, 연구 의뢰 받는 연구소들에 관해서도, 연구 과제가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되는 현상 및 지방 연구소들 역량 미달이나 신규 연구소의 실적 미달을 장벽으로 세워 지역 연구마저 수도권 연구소들이 독식하는 연구 예산 장벽과 전문 연구예산 낙찰꾼들에 집중되는 현상에 대해, 좀 더 획기적 자원 배분을 실현할 필요도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착한호랑이 그냥 넘어갈 수가 없는 발언인데요. 연구개발비가 없으면 연구자는 뭘 먹고 사나요. 이슬을 먹고 사나요? 이공계나 인문계나 지금도 직장인보다 못벌면서 연구하는 사람이 태반입니다.
그리고 기초과학분야 등의 연구분야의 경우, 원래 더 대우가 좋아야 합니다. 지금 착한호랑이님이 쓰시는 기기가 아이폰이건 갤럭시건, 설령 다른 나라 핸드폰이건 기초과학 연구의 결과물이거든요. 국가 핵심 경쟁력인 인재들이 월급을 못받으면 해외로 나가고 이는 결국 인재유출 경쟁력 상실이죠.
세상에 순수한 연구자는 없습니다. 자본주의 아래에서 돈을 벌어야 하는 사람 이후에 연구자가 있죠.
원래 ᆢ 제일 힘없는 하부 직원들이 제일 먼저 잘리죠
그러면서 예산 절감했다고 기관장들은 보너스 타가고 말이죠
@규니베타 실제로 기관이나 대학 등에 있는 전임 연구원이나 교원들은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해요. 다른 나라도 비슷하다고.. 물론 인건비 줄이지 못하겠다고 고민하는 분들이 더 많으시겠지만요. 다만 그 축소가 너무 갑작스럽고 규모도 크며 명분에 맞는 절차는 아닌 듯 해 현장에서 혼란과 걱정이 많습니다. 잘 풀면 물론 좋겠지만, 그러자면 노력이 많이 필요할 듯 해요.
@JACK alooker 좋은 지적이십니다. 말씀처럼 비효율이나 부조리가 없었다고 보긴 어렵죠. 다만 그런 나눠먹기는 연구계만 있는 일은 아니고 정부 돈 들어가는 사업에는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비효율일 듯 합니다. 연구에서라도 그걸 없애겠다면, 문제가 되는 사업을 찾아 도려내는 식으로 진행되면 될텐데, 갑작스럽게 전체 예산이 삭감되다 보니 문제 해결은 안 되고 가장 약자부터 피해를 보는 상황이에요. 좀 더 계획적으로 진행됐더라면 취지가 이해도 되고 공감도 얻으며 진행됐을텐데 아쉽죠.
@착한호랑이 네. 말씀 감사합니다. 정부 예산 들어가는 사업이 많이들 그렇지만, 당연히 연구 쪽 정부 사업 중에도 비효율적이거나 나눠먹기로 볼 만한 것이 있겠지요. 그걸 자정한다는 건 아마 대다수 연구자들도 동의할 겁니다. 다만 방법이.. 예산의 갑작스런 축소가 맞는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선이 많습니다. 그런 사업을 가려낼 방법은 얼마든지 있을텐데, 그냥 전체 예산 총액을 줄였는데요. 시간 들여 차분히 가려내도 모자랄텐데 시간은 없고, 아마 문제가 있는 것보다는 자를 수 있는 것, 자르기 쉬운 것을 먼저 잘라낼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어요. 연구 쪽에서는 아무래도 기관 고유 과제 같은 게 먼저 잘릴 거고, 거기 관여하던 연구자 중에서는 전임이 아닌 비전임을 먼저 해촉하겠죠. 실제로 이런 순서로 진행되고 있는 듯 합니다. 그런 부분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김재경 감사합니다. 어디 이야기할 데 없는 분들이 많으실 거라 생각해서 기획했는데, 전에도 보면 굉장히 조심스러워하시더라고요. 지켜봐야겠습니다.
삭감 시킨 원인을 과연 몰라서 그럴까요? 왜 삭감시켰을까요? 알고서 공감 받으려고 약자 코스프레 하는 것일까요? 단물 빨아먹던 곳에 돈이 줄어드니 하위직 핑계 삼는 카르텔이 예산 삭감되었다고 징징대는.. 그러면서 자기들 몫은 못 버리니 하위직을 잘라버리는...아직 멀었습니다. 스스로 자정하지 않고서는 스스로를 돌아보지 못 한다면 그냥 단물 빨아 먹는 기생충밖에 안됩니다. 정말 열심히 연구하시는 분들에게 미안하지 않으신가요? 연구개발비가 목적이 아닌 진실된 연구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정말 심각하게 보고 있던 문제인데,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 곳에서 목소리가 모일 수 있도록 공유하겠습니다.
포닥 연구원 뿐만 아니라, 연구 의뢰 받는 연구소들에 관해서도, 연구 과제가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되는 현상 및 지방 연구소들 역량 미달이나 신규 연구소의 실적 미달을 장벽으로 세워 지역 연구마저 수도권 연구소들이 독식하는 연구 예산 장벽과 전문 연구예산 낙찰꾼들에 집중되는 현상에 대해, 좀 더 획기적 자원 배분을 실현할 필요도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