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파묘>의 소재로 쓰인 '쇠말뚝' 많이 아쉬웠다.

김동규
김동규 인증된 계정 · 광주의 은둔형 활동가(INTP)
2024/03/17
㈜쇼박스
뒤늦게 영화 <파묘>를 봤다.

정말 솔직히 말해서, 너무 무서워서 눈물이 났다. 중간부터는 화면을 응시하고 있기 어려웠고, 손으로 눈을 가린 채 보낸 시간만 해도 5분은 되는 것 같다. 영화 <곡성> 때에도 이랬는데 나는 아무래도 공포영화를 볼 수 없는 사람인 거 같다. 이건 명백한 공포영화였다. 온몸에 소름이 돋는 장면이 너무 많아서 춥고 힘들었다. 도망치고 싶었다.

앞으로 한동안 시골이나 산골에 갈 일은 없을 것 같다. 특히, 어두운 시간에는 당분간 외출도 자제할 것 같다. 이렇게까지 공포영화를 못보는 사람이어도 괜찮은 걸까? 그렇지만 영화만 놓고 보면 잘 만든 영화였다. 다시 볼 수 없겠지만 재밌었다.

얼마 전 영화 <건국전쟁> 감독이 <파묘>는 좌파영화라는 망언을 했는데, <파묘>를 보며 그가 주장한 것과 같은 코드를 느끼진 못했다. 민족주의는 대게 우파적인 사고방식에 해당하며, <파묘>는 민족신앙적 요소들을 소재로 한 단순한 오컬트 영화에 불과했다.

<파묘>는 영화로써 재밌는 영화였지만 '쇠말뚝'을 소재로 활용한 부분은 많이 아쉬웠다. '쇠말뚝론'은 명백한 정치적 음모론으로, 이 영화에 등장한 다른 민족신앙적 요소와 그 어떤 연결점도 없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주장은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옹호론을 만들어낼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인간에게는 반발심이란 게 있기에, 자신의 믿음이 틀렸음을 알게 된 인간은 아주 쉽게 돌아서곤 한다. 반일 '감정'을 당연한 것처럼 주입하는 사회 분위기가 되레 거대한 반대급부를 창출하고 있다.

'박근혜-최순실' 정국이 이어지던 지난 2017년 당시 경기 오산의 안민석 의원이 "박정희가 빼돌린 국가 돈이 무려 8조 9000억 원이었고, 이는 현재 가치로 300조 원에 해당한다"는 주장을 편 일이 있었다. 그러나 박정희가 사망한 1979년 당시 한국정부의 전체 예산은 약 4조 원에 불과했기 때문에 이는 명백한 허위사실이었다.

만약 박정희가 8조 9...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수상 - 5·18 언론상(2019), 광주전남민주언론상 대상(2020)
17
팔로워 101
팔로잉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