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의 대상 된 간병, 어쩌다 이 지경 됐나

김성호
김성호 인증된 계정 · 좋은 사람 되기
2024/04/05
간병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됐다. 5년 후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할을 넘어설 것이 확실시된다. 노년은 자연히 지병 등 각종 건강문제를 동반한다. 헬조선 소리가 절로 나는 한국에서 정년퇴직 후 노후가 안정적으로 준비된 이들은 그리 많지 않다. 자식이 부양하지 못하는 부모는 사회의 부담으로 전락한다. 대개 그러하듯 한국사회는 닥쳐올 간병위기를 충실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곳곳에서 간병과 관련한 비명이 터져 나오는 이유다.

한국보다 20년 앞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0%를 넘긴 일본을 보자. 한 해 가족 간병을 위해 직장을 그만두는 인구가 최소 10만 명에 이른다. 한국은 여전히 관련 통계가 없다. 노년 부모를 둔 중년의 간병부담조차 제대로 통계가 잡히지 않는 가운데 청년 간병인구도 상당히 많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잇따른다. 종일 간병을 해야 하는 이들은 자연히 사회와도 활발히 소통하기 어렵다. 간병해야 할 환자와 함께 간병인 역시 좁은 집 안에 갇히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간병부담은 사회적 공포다. 언제 우리 가족이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상태로 무너질지 모른다. 가족 구성원의 무너짐은 곧 나의 무너짐이기도 하다. 사회적 안전망이 미비한 상태로 개인에게 큰 부담을 지우는 현실 가운데 간병은 공포의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영화평론가, 서평가, 작가, 전직 기자. 저널리즘 에세이 <자주 부끄럽고 가끔 행복했습니다> 저자.
344
팔로워 177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