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력사 반대가 잔인한 이유
2024/03/10
조력사는 말 그대로 도움을 받아 죽는 것이다. 죽음에 도움이 필요한 이유는 해결가능성없는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는 대부분에게 스스로 존엄한 죽음을 실행할 상황이 안되기 때문이다.
죽음은 사회적 행위다. 나 혼자 죽는다고 끝나지 않는다. 가족 등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겪게 될 일도 있다. 죽음은 한 개인의 생명이 종료되는 것일 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의 마무리이기도 하다. 조력사 제도는 단지 생명의 존엄한 종료 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해 필요하다.
조력사제도는 국민의 대다수가 지지하고 있다. 2022년 조역존엄사법안이 발의됐을 때 한국리서치가 2022년 7월1일부터 4일 사이 전국 18세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력존엄사에 대한 여론을 조사했다. 82%가 찬성했다. 법안 발의 전 조사에서도 대다수(76.4%)가 조력자에 찬성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윤영호 교수 연구팀은 2021년 3월과 4월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력자살 법제화에 대한 태도에 대해 조사했다. 두 조사 모두 용어의 유화법에 따른 편향을 제거하기 위해 설문 문항에 “의사조력자살”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국민 대다수가 찬성함에도 불구하고 조력사제도를 도입하지 못하는 이유는 영향력 있는 소수(예:의사협회, 종교계)의 반대 때문이다. 반대 논리의 근저에는 생명경시 확산의 우려가 있다. 인간이 능동적인 조치를 위해 죽음에 이르도록 하는 조치를 일단 제도화하면, 그 실행 대상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것이란 우려다.
이 우려는 현실을 무시하는 책상머리들의 이기적인 공상일 뿐이다. 한국 사회에는 사형제도가 있다. 매우 능동적으로 생명으로 종식하는 행위다. 의사협회나 종교계의 논리라면, 사형제도의 실행대상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것이다. 현실은 그 반대다. ...
@노영식 사형제도 자체의 기능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오심과 악용 가능성은 논란의 여지가 없지요.
살인자는 사형을 해야 한다고 하면서도 사형제도를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지요. 정적을 제거하는 정치적 악용과 오심도 있습니다. 회복이 불가능하지요. 하나 아닌 둘을 생각해야 할 듯합니다.
@노영식 사형제도 자체의 기능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오심과 악용 가능성은 논란의 여지가 없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