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사상계』와 한국 지성사의 맥락 - 진보비평의 출발과 저항운동의 기지

강부원
강부원 인증된 계정 · 잡식성 인문학자
2023/04/06
잡지 『사상계』. 출처-신동아

잡지 『사상계』는 한국전쟁 직후 한국 사회의 ‘지식 엘리트’들이 계몽의 의도를 가지고 기획한 잡지로 볼 수 있다. 1960년대 초반까지 한국 사회는 사회분화에 기초한 대중사회가 정착되기 전이었으며, 이에 서북지역 출신의 지식인들은 『사상계』를 구심으로 공론영역을 형성해 담론을 생산하려는 노력을 계속적으로 펼쳐 나간다. 이처럼 『사상계』를 구성하는 지식인들은 월남한 서북지역 출신이라는 분명한 지적 인맥을 가지고 있었다. 또 1955년에서 1963년에 이르는 시기에 발표된 한국사회의 비평과 문학은 『사상계』가 전문 문예잡지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상계』가 추동하는 지식 담론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분단과 전쟁 시기에 주요 문인(지식인)들이 월북한 사실은 1950년대 ‘한국(남한)’ 사회 지성사의 단절을 야기한 원인으로 자연스럽게 해석된다. 그렇다면 한국 사회의 문학사(지성사)가 새롭게 출발하는 자리에 '누가' 있었느냐를 조망하는 것은 1950년대 문학 연구의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그러니까 『사상계』는 1950년대 새로운 문학과 지식 운동의 최전선에 선 ‘젊은’ 문인들(소위 ‘전후세대')의 주요 무대였다. 그중 월남한 서북 지역 출신들이 주로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1950년대 문학은 당대의 지식인 담론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당대 지식인 담론을 주도한 것은 『사상계』 지식인 집단이었다. 이들은 장준하를 위시한 김준엽, 김성한, 신상초, 안병욱 등의 『사상계』 편집위원들, 『사상계』에 많은 글을 기고한 함석헌, 김재준(이들 모두 서북지역 출신)과 또 이념적으로 연결된 남한 출신 유달영 등이다. 이들은 모두 이념적으로 강력하게 결탁되어 있었으며 『사상계』를 통해 자신들의 이념 실현에 주력했다. 『사상계』는 1950년대의 ‘참여론’, ‘세대론’, ‘실존주의’ 담론 등이 갱신되는 지식인 사회의 공론장 영역...
강부원
강부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옛날 신문과 오래된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입니다.학교와 광장을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을 만나오고 있습니다.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고 싶습니다.
179
팔로워 2.2K
팔로잉 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