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ed by, Assembled in’ 의 시대는 저무는가?
2022/12/23
‘Designed by Apple in California, Assembled in China’
아이폰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많이 보셨을 문구입니다. 저 의미 자체는 간단합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애플 본사에서 설계하고, 그걸 중국에서 조립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저는 그런 제품을 영국에서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20세기 말에는 'Made in Somewhere' 가 그 제품의 출신을 대표했다면, 지금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 문구의 의미가 원래 의도했듯이 ‘중국에서 조립했지만, 중국 기술로 만든 게 아니니까 안심해.’ 정도의 뜻일까요?
애플 아이폰에 들어가는 부품들은 그 출신이 다양합니다. 모델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한민국에서 생산한 부품도 들어가고, 일본에서 생산한 부품도 들어갑니다. 아, 그 부품들도 일부는 대한민국에서 설계하고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도 있고, 대한민국에서 설계하고 인도나 베트남에서 만들어진 것도 있을 수 있습니다. 전에는 그런 부품의 출신 성분(?)들이 큰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일부 호사가들이 아이폰에 일본 브랜드 부품이 몇 %냐, 대한민국 브랜드 부품이 몇 %냐 등을 따지기 위해서 따져보기는 했습니다만, 어쨌거나 캘리포니아에서 설계하고 중국에서 조립했다는 것이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사실 저 문구에는 지난 몇 십년간 세계 경제 활동의 그림자가 숨겨져 있습니다. 고전적인 공업생산의 개념은 어느 한 지역에서 제품이 고안되고 그 지역에 있는 공장에서 생산되어 필요한 곳으로 팔려 나가는 것임은 이미 아실 것이고요. 그 과정에서 생산에 필요한 재료나 부품들은 물류를 통해 조달되어 공장으로 들어왔고, 필요한 인력도 주위에서 부족하면 멀리서 불러와서 새로운 이주 노동자들에 의해 근처에 새로운 경제가 형성되기도 하는 구조였습니다. 하지만, 점점 시간이 지나며 그 규모도 커지고 다양한 곳에, 심지어 해외까지 공장이 지어지고 생산보다 물류가 더 중요해지는 쪽으로 발전해 오게 되었죠. 그리...
영국에 사는 퀀트 트레이더. PhD in Theoretical Physics. 트레이딩을 하면서 접하는 금융계 소식, 국제 관계 소식, 영국 소식등을 전합니다. YouTube @sjqtv 에서는 매주 주요 해외 선물을 가지고 시장 분석을 하는 동영상도 업로드 합니다.
시실 OEM, ODM은 영원히 사라질 수는 없을 듯 합니다. 이 형태가 꼭 Designed by나 Assembled by로 표기되지는 않을지라도 그 형태의 주문자와 고안자가 생산 위탁을 하는 것은 유지될 수 밖에 없을테니까요.
@팔만달러 님께서 해 주신 코멘트에 제 생각을 말씀드립니다. 1. 한국 산업들도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 공급망 보안문제 (supply chain security)를 강화하기 위해서 부품 공급의 국산화, 원자재 확보의 최적화등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가능 한 것은 실행하고, 불가능 한 것은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하겠죠. 2. 미국의 경우도 현재 미국이 가지고 있는 여러 종류의 파워를 배경으로 한국 같은 나라들에게 공장을 이전할 것을 요구(제안의 형태지만요)하는 상황인데요. 그렇다고 현재 있는 공장의 생산 규모를 모조리 미국으로 가져가는 것도 오히려 한국 산업에는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어서 기업들이 그 규모와 분할에 신중한 접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에서만 장사할 건 아니쟎아요? 언제 또 중국과 적절한 선의 정상무역이 가능할 지 모르기도 하구요. 당장은 이 문제들로 인해 한국의 일자리가 줄어들거나 하는 충격은 없을 것 같고, 오히려 각 기업들의 규모가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그 과정에서의 경영 미스는 각 기업들이 잘 관리해야 할 것이구요. 그런 면에서 미국도 투트랙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번째는 미국 영토 내로 공장을 유치하는 것, 두번째는 동맹의 이름 하에, 공급망 루트를 재 설정하는 것 등 입니다. 그 외의 것들은 저 큰 카테고리 하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Made in 으로 지역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산업들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이나 대책은 무엇이 있을까요? 반도체만 봐도 미국 내 공장 유치를 위해 세금 정책 등으로 힘쓰는 것 같은데 이런 것으로 인해 한국에 일자리가 줄거나 하는 위험도 있을까요?
Made in 으로 지역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산업들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이나 대책은 무엇이 있을까요? 반도체만 봐도 미국 내 공장 유치를 위해 세금 정책 등으로 힘쓰는 것 같은데 이런 것으로 인해 한국에 일자리가 줄거나 하는 위험도 있을까요?
시실 OEM, ODM은 영원히 사라질 수는 없을 듯 합니다. 이 형태가 꼭 Designed by나 Assembled by로 표기되지는 않을지라도 그 형태의 주문자와 고안자가 생산 위탁을 하는 것은 유지될 수 밖에 없을테니까요.
@팔만달러 님께서 해 주신 코멘트에 제 생각을 말씀드립니다. 1. 한국 산업들도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 공급망 보안문제 (supply chain security)를 강화하기 위해서 부품 공급의 국산화, 원자재 확보의 최적화등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가능 한 것은 실행하고, 불가능 한 것은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하겠죠. 2. 미국의 경우도 현재 미국이 가지고 있는 여러 종류의 파워를 배경으로 한국 같은 나라들에게 공장을 이전할 것을 요구(제안의 형태지만요)하는 상황인데요. 그렇다고 현재 있는 공장의 생산 규모를 모조리 미국으로 가져가는 것도 오히려 한국 산업에는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어서 기업들이 그 규모와 분할에 신중한 접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에서만 장사할 건 아니쟎아요? 언제 또 중국과 적절한 선의 정상무역이 가능할 지 모르기도 하구요. 당장은 이 문제들로 인해 한국의 일자리가 줄어들거나 하는 충격은 없을 것 같고, 오히려 각 기업들의 규모가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그 과정에서의 경영 미스는 각 기업들이 잘 관리해야 할 것이구요. 그런 면에서 미국도 투트랙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번째는 미국 영토 내로 공장을 유치하는 것, 두번째는 동맹의 이름 하에, 공급망 루트를 재 설정하는 것 등 입니다. 그 외의 것들은 저 큰 카테고리 하에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