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1.5℃ 이내로 유지하겠다고?

이코노미스트
이코노미스트 인증된 계정 · 세계적인 경제 및 시사 주간지
2022/11/09
인류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출처: Unsplash
처벌하기 전에 두 번의 기회를 더 주는 제도를 가리켜 삼진아웃 제도라고 한다. 나름 괜찮은 제도다. 2015년 12월 파리에서 개최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정상회의(이하 파리 총회)에 참석한 각국의 지도자 및 대표단에게도 삼진아웃을 당할 위기가 있었다. 그들은 1997년 교토, 그리고 2009년 코펜하겐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통제할 수 있는 유의미한 협정을 체결하려 했지만, 둘 다 실패로 끝났다. 세 번째 기회마저 실패로 끝난다면 지구 온난화로 인류가 온갖 이상기후에 시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파리 총회에 참석한 모든 이들은 강력한 성과를 내야 한다는 엄청난 압박감에 시달리고 있었다. 게다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를 대표하는 정치인 및 정책 결정자들은 자신들만의 강력한 요구사항을 반드시 관철시켜야 할 입장이었다. 그들의 요구사항은 매우 구체적이었지만 논란의 소지 또한 많았다. 카리브해의 작은 섬나라 세인트루시아 대표로 참석했던 제임스 플레처(James Fletcher)는 “나와 카리브해 국가 대표들의 마음 속에는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 폭을 반드시 1.5℃ 이내로 사수해야 한다는 목표(이하 1.5℃ 목표)가 절대로 타협할 수 없는 일종의 레드라인(red-line)이라고 확신을 갖고 있었다”고 회상했다.

“만약 우리가 파리 협정에서 1.5℃ 목표에 대한 발언권을 갖지 못할 조짐이 조금이라도 보이면 우리는 협상에서 빠질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 작은 섬나라를 대표하는 지도자들은 서로 암묵적으로 그런 합의를 하고 있었죠.”

수많은 섬나라들이 동일한 레드라인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의 논리는 간단했다. 국토의 80% 이상이 해발 1미터 미만인 몰디브 같은 국가들은 온난화로 지구의 평균 기온이 1.5°C(2.7°F) 이상 올라가면 영토 대부분이 바다에 잠길 것이라는 우려였다. 기후 변화로 특별한 위험에 처해 있다고 느끼거나 위기에 처한 나라들에게 강한 연대의식을 가진 몇몇 대륙 국가들도 1.5°C 목표라는 대의명분을 받아들였다. 삼진아웃을 당하기 직전이었던 파리 총회는 1.5°C 목표 아래 단결한 국가들이 의지를 관철하기에 완벽한 장소였다.

1992년에 타결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처음 서명한 이후, 전 세계 각국은 오랜 기간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을 줄이기 위한 공식 약속은 하지 않고 있었다. 파리 총회가 그토록 중요했던 이유 중 하나는 마침내 공식적으로 온도 상승폭에 관한 약속할 것이라는 점이었다. 당시 모든 주요 탄소 배출국들을 포함한 대부분 국가들이 염두에 두고 있던 허용 가능한 온도 상승폭은 2°C였다.
이코노미스트
한글로 읽는 이코노미스트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영국의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리더스, 브리핑, 칼럼 기사를 번역해 소개합니다. * 이 계정은 alookso에서 운영합니다.
363
팔로워 1.3K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