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1
그렇다면 미두장이란 대체 어떤 공간인가. 도대체 어떤 곳이길래 채만식의 <탁류>는 이처럼 미두장의 매커니즘을 시대의 본질 혹은 사회의 증상으로 써낸 것일까. 다시 말해 도대체가 <탁류>는 미두장의 어떤 속성에 주목했기 때문에 그 시대 전체가 곧 미두장 앞의 실존 형식과 같다고 말하게 된 것일까.
소위 ‘미두장’, 정식 명칭으로 부르자면 미곡취인소는 흔히 도박장 혹은 식민지 수탈의 첨병처럼 알려져 있지만 그것이 미두장의 본래적 기능은 아니다. 그곳은 쌀 등의 농산물을 효과적이고 원활하게 교환하기 위한 곡물의 집적지이면서 동시에 대단위 시장이다. 뿐만 아니라 미두장은 농산물 시장의 임의성과 불안정성을 억제하기 위한 매개 장치이기도 하다.
미두장은 처음에는 농산물과 현금을 직접 사고파는 현물시장이었다가 점차 상품의 수요-공급에 있어서의 투기성과 불안정성을 줄이기 위해 창안된 자본주의적 경제장치인 선물시장의 형태로 변화한다. 예컨대 쌀 등 곡물은 상품으로서 대단히 불안정하고 품질의 균질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또한 자유롭고 합리적인 가격 결정이 힘든 상품이다. 홍수, 가뭄, 태풍 등 천재지변에 따라 어떤 상품보다 가격변동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쌀 ...
@클레이 곽 그런 면이 있죠. 저는 경제나 금융에 문외한이라 선물 상품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이 선뜻 이해가 잘 안되긴 합니다. 미래의 상품을 두고 거래를 하게되면 필요보다 투기에 의해 움직일 것 같아서 말이죠. 그래도 일찍이 선물 상품 시장이 있었왔다는 것은 중요한 역할이 있기 때문이겠죠. 미두장의 쌀 선물 거래는 식민지 조선에서 그 문제점이 더 크게 불거졌던 사례이기도 하구요. 감사합니다.
@강부원 미두장이 현재의 선물거래소의 성격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곳이지만, 선물거래의 기능보다는 도박으로 변질되어 일제의 수탈에 더해 민초들을 힘들게 했군요.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해주시니 감사합니다.
@클레이 곽 그런 면이 있죠. 저는 경제나 금융에 문외한이라 선물 상품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이 선뜻 이해가 잘 안되긴 합니다. 미래의 상품을 두고 거래를 하게되면 필요보다 투기에 의해 움직일 것 같아서 말이죠. 그래도 일찍이 선물 상품 시장이 있었왔다는 것은 중요한 역할이 있기 때문이겠죠. 미두장의 쌀 선물 거래는 식민지 조선에서 그 문제점이 더 크게 불거졌던 사례이기도 하구요. 감사합니다.
@강부원 미두장이 현재의 선물거래소의 성격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곳이지만, 선물거래의 기능보다는 도박으로 변질되어 일제의 수탈에 더해 민초들을 힘들게 했군요.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해주시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