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공간, 잃어버린 시간, 잃어버린 사람

천세진
천세진 인증된 계정 · 문화비평가, 시인, 소설가
2024/04/16
출처-픽사베이
「화령」- 김사인 

머스마는 차멀미로
얼굴이 핼쓱했지
한 겨울 덜컹거리는 만원 버스는
속리산 지나 상주까지 가는데
자꾸 토하는 머스마를
두어 살 더 먹은
옆자리 큰 눈 상고머리 계집아이가
손을 잡고 토닥거려 주었네
제 구슬도 하나 쥐어 주었네
   
화령이라는 곳
계집아이는 얼굴을 만져주고
손도 한 번 흔들어주고
아비를 따라 내렸네
군청색 낡은 고리땡 긴 윗도리에
소처럼 크고 어질던 눈
   
머스마는 토하며 울었던가
허리가 꺾이게 허전했던가
구슬을 더 꼭 손에 쥐었던가
화령
50년도 전의 일
   
*********   
   풀과 꽃에서 우려낸 염료로 옷감을 물들이고 그 옷감으로 옷을 만드는 것처럼, 생의 풍경마다에서 우려낸 염료로 물들인 문장으로 시를 짓는다. 옷을 물들인 색으로 꽃의 연원을 정확히 헤아릴 수 없는 것처럼, 물들여진 문장의 색으로 풍경의 속살을 모두 헤아릴 수 없다. 연원과 색을 잇는 것은 다만 해석일 뿐이고, 그 해석의 끈도 여러 갈래다.

    시는 반영이다. 자신을 응시하는 거울 형식의 반영이고, 햇살을 피하려는 이들이 찾아드는 그늘 형식의 반영이며, 시간과 공간이 바뀌어도 도무지 떨어질 줄 모르고 오로지 음영으로만 존재하는 그림자 형식의 반영이다. 시는 그 반영 형식 중 어느 하나만을 택하지도 않는다.

    시는 축적과 상실의 비문祕文이다. 얻은 것과 얻게 될 것, 잃은 것과 잃게 될 것에 대한 비문碑文이다. 많은 시들이 얻은 것보다는 잃은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인간의 시간은 무한한 크기의 자루가 아니어서 새로 얻고 잃을 것들을 담기 위해서는 이전의 것을 덜어내야 한다.

    그런데 그 자루는 요술자루다. 덜어냈다고, 잃었다고 생각한 것이 자루 귀퉁이에 수정처럼 결정화 되어 남아 있는 것을 문득 발견하게 된다. 결정화 되는 것으로 자리를 만들어 주었음을 깨닫게 된다. 어쩌...
천세진
천세진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시집 <순간의 젤리>(2017 세종도서 문학나눔 선정), <풍경도둑>(2020 아르코 문학나눔도서 선정), 장편소설<이야기꾼 미로>, 문화비평서<어제를 표절했다-스타일 탄생의 비밀>, 광주가톨릭평화방송 <천세진 시인의 인문학 산책>, 일간지 칼럼 필진(2006∼현재)
125
팔로워 333
팔로잉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