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에 기대어 · 경제적시선으로 금융의숨결을 공유합니다
2022/12/12

인구 집중현상 환경파괴와 기후변화를 심화 시킬 수도 있지 않을까?


도시 인구 밀집현상과 기후위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글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인구나 환경, 기후변화 관련 전문가는 아니라서 딴지를 걸려는 의도는 아니고
인구가 집중 되는 것이 기후 위기 극복에는 좋을 수 있다는 시각에 서울과 수도권이 아닌 현재 지방에 거주하는 한 사람으로서 반대로 접근해 보고자 몇 글자 적어봅니다.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인구가 과도하게 몰려있다는 점을 또 다시 확인해서 착잡하기도 합니다.  
서울,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급 대도시는 인구가 과밀화 되어 있는 반면에 지방은 지방 소멸을 걱정해야하는 그런 자치단체들이 다수 입니다.  지역 불균형 큰 문제이긴 합니다.

기후위기 측면에서는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효율성과 일종의 규모의 경제 효과 등을 가져서 도시의 고밀화가 기후위기 극복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다는 주장인데요.

일리가 없는 주장은 아니고 실제 연구 결과들을 근거로 제시하셨으니 제가 관련 연구자이거나 해당 분야 전공이나 전문가가 아니라서 반대되는 정보와 자료들을 근거로 제시하면서 반론을 제기하기는 힘듭니다.  어쩌면 근거가 부족한 막연한 반론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1인당 에너지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안녕하세요 시간에기대어 입니다. Finance전공! 시중은행 근무! 금융감독원 금소리 활동! 일반인 눈높이에서 경영,경제,금융 관련 글의 숨결이 느껴지고자 노력합니다. 얼룩소와 같은 플랫폼 공간을 통해 책을 출판하고 싶은 꿈을 가진 예비 작가 지망생이기도 합니다.
149
팔로워 59
팔로잉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