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뷰
기후위기 언플러그(Unplug)
“인류, 이제 미지의 영역에 있다” 과학자들 경고
2023/10/24
4년 전 1만 5000명 과학자의 기후 경고, 그 후 [기사+인터뷰]
2019년 163개국 과학자 1만 5000명이 서명한 ‘세계 과학자들의 기후 비상사태 경고’ 보고서의 후속 보고서가 24일 발표됐다. 당시 과학자들은 치명적인 산불과 집중호우, 홍수 등 이상기후 현상을 근거로 기후가 위험 징후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4년이 지난 24일, 당시 보고서를 주도한 과학자들은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진진이 거의 없었다”며 “지구 생명체가 기후위기에 포위됐다. 인류는 이제 미지의 영역에 들어섰다”고 우려했다.
윌리엄 리플 미국 오레건 주립대 교수와 크리스토퍼 울프 미국 육상생태계연구연합 연구원팀은 이 같은 내용의 ‘2023 기후 현황 보고서: 미지의 영역 진입’을 생명과학 학술지 ‘바이오사이언스’ 2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구 기후의 상태를 알려주는 35가지 지표를 점검했다. 여기에는 나무의 피복 손실, 1인당 육류 생산량, 화석 연료 소비, 항공 승객수, 이산화탄소 배출량, 출산율, 재생에너지 소비 비율, 아마존 삼림 손실 속도 등 에너지와 생활, 자연 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는 지표가 포함됐다. 리플 교수는 “이 가운데 20가지가 현재 극단적인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며 “기후 관련 변수와 재해가 매우 우려스러운 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특히 올해 극단적인 수치를 기록 중인 해수면 온도와 해빙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지난 7월 평균 지구 표면 온도가 역대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며 “이는 지난 10만 년 사이에 가장 높았던 기온이었다”고 밝혔다. 또 “올해는 산업화시대 이전 대비 지구 평균 기온이 1.5도 이상 상승한 날이 38일이나 됐는데, 올해 이전까지는 이런 날이 매우 드물었다”고도 덧붙였다.
미국과 한국에서 기자상을 수상한 과학전문기자입니다. 과학잡지·일간지의 과학담당과 편집장을 거쳤습니다. '사라져 가는 것들의 안부를 묻다' '인류의 기원(공저)' 등을 썼고 '스마트 브레비티' '화석맨' '왜 맛있을까' '사소한 것들의 과학' '빌트' 등을 번역했습니다.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하나는 생각했으나 인구성장 쇠퇴기에 이른 선진국의 탄소배출경쟁의 불균형까지는 생각 못했네요!! 흥미로운 논의점이네요 와우!!
@송유수 안녕하세요! 잘 읽어주시고 좋은 질문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제로 세계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는 질문입니다. 선진국으로 분류돼 이미 19세기 말부터 상당한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그래서 기후위기에 가장 큰 책임이 있는 선진국들이 최근 가장 공격적으로 배출 감축을 이룩하고 있고 에너지 전환에도 적극적입니다. 그리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후발주자에게도 동참을 강요하고 있는데요.
기후위기를 위해 모두가 동참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공정성 측면에서 의문을 많이 제기 받고 있죠. 그런데 또 하나, 조건이 다른 측면을 간과했다는 비판이 있는데 그게 바로 인구 변화예요. 서유럽은 이미 인구가 정체되거나 줄고 있는 상황이고, 따라서 에너지 수요를 감축하고 배출량을 줄이기가 상대적으로 쉽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그에 반해 인구가 계속 늘거나 경제가 발전 중인 개발도상국에서는 똑같이 달성하기가 어렵지요.
한국이 빠르게 인구가 줄어든다면 아마 수요 자체의 정체 또는 감소로 이전보다는 배출량을 줄이기 약간은 쉬워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실제로 개개인이 탄소를 많이 배출해서만이 아니라, 산업국이기에 산업 섹터에서 많은 탄소를 배출 중이기도 한데요, 이 부분의 감축은 별도의 문제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아마 인구가 줄고 내수가 작아진다 하더라도, 한국은 수출을 위해 산업을 포기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 부분에서 어떤 감축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신영 에디터님 글 잘 읽었습니다.
다름 아니라 예전부터 뜬금없이 생각해오던 것이 있는데요. 수요를 줄이기 위해서는 마블 영화의 타노스가 그랬듯, 킹스맨의 빌런 발렌타인(사무엘 L 잭슨)이 그랬듯, 다소 위험하지만 수요자의 감소가 가장 확실한 해결책일 수 있단 생각을 하는데요.
대한민국의 경우 출생율의 감소로 자연스레 수요자도 줄어들게 되잖아요. 출생율의 감소가 경제 저하로, GDP감소로, 군비경쟁의 실패로, 안보문제까지 예상하게 하는데, 이때 국가적 탄소배출권 거래를 통한 경제 부양까진 아니더라도 연착륙은 터무니 없는 이야기일까요?
막연히 대한민국의 인구감소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하고 생각했을 때 대한민국은 의도치 않게(?) 지구촌의 탄소 배출 감소에 기여하고 있단 생각을 했습니다.
이에 관한 견해가 궁금해요!
@똑순이 아, 그 지역에 바로 1호 탄광이 있었군요!! 맞습니다. 정의로운 전환이 바로 이 부분에서 중요합니다. 기후를 생각하면 석탄은 줄이다 없애는 게 맞는데, 그게 어딘가에게는 생업이니까요.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고, 산업 전환을 통해 자연스럽게 일도 연계가 되게 해야 할 것입니다. 어렵지만, 해야 할 일이죠. 소식 감사합니다.
제가 살고 있는 우리나라 1호 탄광이 6월 30일자로 폐광이 되었습니다.
지구를 생각하면 석탄의 사용을 줄여야하는데 이 지역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하더군요.
생활에서 실천 할수있는 것을 지속적으로 실천 해야겠습니다.
@송유수 안녕하세요! 잘 읽어주시고 좋은 질문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제로 세계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는 질문입니다. 선진국으로 분류돼 이미 19세기 말부터 상당한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그래서 기후위기에 가장 큰 책임이 있는 선진국들이 최근 가장 공격적으로 배출 감축을 이룩하고 있고 에너지 전환에도 적극적입니다. 그리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후발주자에게도 동참을 강요하고 있는데요.
기후위기를 위해 모두가 동참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공정성 측면에서 의문을 많이 제기 받고 있죠. 그런데 또 하나, 조건이 다른 측면을 간과했다는 비판이 있는데 그게 바로 인구 변화예요. 서유럽은 이미 인구가 정체되거나 줄고 있는 상황이고, 따라서 에너지 수요를 감축하고 배출량을 줄이기가 상대적으로 쉽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그에 반해 인구가 계속 늘거나 경제가 발전 중인 개발도상국에서는 똑같이 달성하기가 어렵지요.
한국이 빠르게 인구가 줄어든다면 아마 수요 자체의 정체 또는 감소로 이전보다는 배출량을 줄이기 약간은 쉬워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실제로 개개인이 탄소를 많이 배출해서만이 아니라, 산업국이기에 산업 섹터에서 많은 탄소를 배출 중이기도 한데요, 이 부분의 감축은 별도의 문제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아마 인구가 줄고 내수가 작아진다 하더라도, 한국은 수출을 위해 산업을 포기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 부분에서 어떤 감축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똑순이 아, 그 지역에 바로 1호 탄광이 있었군요!! 맞습니다. 정의로운 전환이 바로 이 부분에서 중요합니다. 기후를 생각하면 석탄은 줄이다 없애는 게 맞는데, 그게 어딘가에게는 생업이니까요.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고, 산업 전환을 통해 자연스럽게 일도 연계가 되게 해야 할 것입니다. 어렵지만, 해야 할 일이죠. 소식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신영 에디터님 글 잘 읽었습니다.
다름 아니라 예전부터 뜬금없이 생각해오던 것이 있는데요. 수요를 줄이기 위해서는 마블 영화의 타노스가 그랬듯, 킹스맨의 빌런 발렌타인(사무엘 L 잭슨)이 그랬듯, 다소 위험하지만 수요자의 감소가 가장 확실한 해결책일 수 있단 생각을 하는데요.
대한민국의 경우 출생율의 감소로 자연스레 수요자도 줄어들게 되잖아요. 출생율의 감소가 경제 저하로, GDP감소로, 군비경쟁의 실패로, 안보문제까지 예상하게 하는데, 이때 국가적 탄소배출권 거래를 통한 경제 부양까진 아니더라도 연착륙은 터무니 없는 이야기일까요?
막연히 대한민국의 인구감소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하고 생각했을 때 대한민국은 의도치 않게(?) 지구촌의 탄소 배출 감소에 기여하고 있단 생각을 했습니다.
이에 관한 견해가 궁금해요!
제가 살고 있는 우리나라 1호 탄광이 6월 30일자로 폐광이 되었습니다.
지구를 생각하면 석탄의 사용을 줄여야하는데 이 지역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하더군요.
생활에서 실천 할수있는 것을 지속적으로 실천 해야겠습니다.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하나는 생각했으나 인구성장 쇠퇴기에 이른 선진국의 탄소배출경쟁의 불균형까지는 생각 못했네요!! 흥미로운 논의점이네요 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