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홈리스, 비주택 거주자 1편

박재용
박재용 인증된 계정 · 전업 작가입니다.
2023/01/03
이 글을 읽는 분들 대부분은 단독주택, 아파트, 빌라, 원룸이나 투룸에 살고 있을 겁니다. 보통 방과 거실, 부엌, 욕실이 크든 작든 혹은 같이 있던 분리되어 있든 구비되어 있습니다. 가스레인지나 인덕션이 있어 음식을 조리할 수 있고 가스보일러나 등유보일러 혹은 온돌이 난방을 맡고 있죠. 세탁기와 냉장고 정도는 기본으로 갖추고 삽니다. 이 정도가 우리가 생각하는 최소한의 주거 조건이지요. 이런 조건을 갖춘 곳을 주택이라고 합니다. 법에 따르면 주택이란 ‘장기간 독립된 주거 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건축물’이라 합니다.
   
이런 주택에 살 수 없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조금 확장된 의미의 홈리스라 볼 수 있습니다. (OECD 통계나 유럽연합, 미국 등의 통계에서 홈리스는 이보다 더 확장된 의미를 가집니다.) 한뎃잠을 자는 거리 노숙인, 시설에 있는 노숙인, 쪽방, 고시원, 여인숙, 여관, 마을회관, 판잣집, 비닐하우스 등에 사는 이들입니다. 이들 중 노숙인을 제외하면 비주택 거주자입니다. 몰론 비주택에 이런 곳만 있는 건 아닙니다. 래퍼 도끼가 호텔에서 숙식을 해결한다고 해서 화제가 된 적이 있었죠. 호텔이나 오피스텔에 사는 것도 비주택 거주에 해당합니다. 아래의 통계에서 비주택거주자임에도 꽤 높은 소득과 지출 등이 일부 통계에 잡히는 건 그런 이유 때문입니다. 
   
비주택 이외에도 사실 안정적인 주거 공간이라고 보기 힘든 곳이 있습니다. 반지하나 지하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고 또 보증금 없이 월세만 내고 사는 경우도 그러합니다. 이런 경우에 대해선 다음에 이야기하기로 하지요. 
   
우선 주택이외의 거처에 사는 가구가 얼마나 되는지를 한 번 살펴보죠. 아래 표는 정부의 인구주택총조사(매 5년마다 실시) 데이터로 만들었습니다. 우선 놀라운 건 비주택 거주자가 굉장히 많이 늘어났다는 점입니다. 2005년 5만 7천명 정도였던 비주택 거주자는 2020년 119만 2천명을 넘어섭니다. 무려 20배가 넘어가죠. 그래서 전체 가구 중 비율도 0.4%였던 것이 4.8...
박재용
박재용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과학과 사회가 만나는 곳, 과학과 인간이 만나는 곳에 대한 글을 주로 썼습니다. 지금은 과학과 함께 사회문제에 대한 통계를 바탕으로 한 글을 자주 쓰고 있습니다. 출간된 책으로는 '불평등한 선진국',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통계 이야기', '1.5도 생존을 위한 멈춤', '웰컴 투 사이언스 월드', '과학 VS 과학' 등 20여 종이 있습니다.
93
팔로워 622
팔로잉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