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통화정책

라이뷰

한국의 통화정책

소비자물가 11월 업데이트: 물가는 아직 안 잡혔다

권승준
권승준 인증된 계정 · 운수회사 직원
2022/11/02

통계청에서 10월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핵심요약

  • 10월 물가상승률은 5.7%(전년동월비). 다시 오르는 추세다.
  • 대부분 지표는 물가가 아직 안 잡혔단 의미로 읽힌다.
  • 미국 연준이 내일 기준금리를 4%까지 올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은도 따라 올려야 할 필요가 있다.


전체 동향: 꺾인 줄 알았는데 다시 오른다

통계청이 11월 2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지수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5.7% 올랐다. 지난달에 비하면 0.3% 올랐다. 꺾인 줄 알았는데 다시 반등했다. 전체 물가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53%) 서비스 물가가 계속 오른 탓이 커 보인다. 농식품이나 에너지가 아니라 우리가 돈을 내고 구매하거나 이용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전체적으로 오르고 있단 뜻이다.
출처: alookso


인플레이션이 경제 전반에 퍼져있다

다른 물가 지표들도 그리 좋지 않다. 가격 변동폭이 큰 농산물 및 석유류 제품을 제외한 물가 지수인 근원물가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에서 집계하는 소비자물가 중위값 집계 방법론을 적용해 뽑은 한국의 소비자물가 중위값도 계속 오르고 있다. 두 지표 모두 인플레이션이 경제에 얼마나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는지 가늠할 때 본다. 두 지표 모두 전체 물가보다 더 빨리 오르고 있다.
출처: alookso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이 경제에 얼마나 퍼져있는 걸까. 아주 정확히 그걸 알 수 있는 척도는 없다. 하지만 대강 짐작을 해볼 순 있다.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458개 품목 중에 1년 간 상승률이 5%를 넘는 것만 추려봤다. 작년 초에는 그 비중이 20% 미만이지만 계속 늘어났다. 이제 50%를 넘겼다. 우리가 평소 소비하는 상품과 서비스 물가 중 5% 넘게 오른 게 절반을 넘었단 뜻이다. 즉, 그만큼 경제 전반에 고물가가 뿌리내리는 중이란 거다. 좋지 않은 신호다. 참고로 5% 넘게 오른 품목의 비중이 절반을 넘긴 건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출처: alookso


서비스 및 외식 물가: 계속 상승 중

소비자물가지수엔 수많은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포함돼 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서비스 물가가 전체의 절반 이상이다. 그 서비스 물가 중에서도 전체 물가 동향을 가장 압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게 외식 물가다. 외식 물가에는 각종 식재료 가격은 물론, 수도와 전기 등 광열비, 임대료에 더해 인건비까지 반영된다. 소비자물가의 전체적인 구성과 얼추 비슷하다. 우리 피부에 와닿는 물가이기도 하다. 이 외식물가 역시 내려올 줄을 모르고 있다.
출처: alookso


임금-물가 동반상승

높은 인플레이션이 경제 전반에 자리잡으면 구조적 현상이 될 위험이 있다. 물가가 높으니 노동자들은 임금을 높여달라고 할 이유가 생긴다. 임금이 높아지면 기업 입장에선 그렇게 오른 비용만큼 또 상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높여야 수지를 맞출 수 있다. 이렇게 임금과 물가가 주거니 받거니 오르는 걸 '임금-물가 동반 상승(wage-price spiral)’ 현상이라고 한다. 물가 안정을 책임지는 중앙은행이 가장 무서워하는 현상이다.
출처: alookso
국내에서도 이런 현상의 단초가 나타나고 있다. 올해 들어 임금인상률이 계속 오르고 있다. 특히 중요한 건 상용직(1년 이상 고용계약을 맺은 일자리)의 정액급여 상승률이다. 초과수당이나 각종 상여금 등 특별수당과 달리 정액급여는 임금 자체가 올랐다는 뜻. 아래 그래프를 보면 임금이 먼저 오르고 그 뒤를 좇아 근원물가가 올라오는 형국이다. 특히 인건비 비중이 높은 서비스 부문의 물가가 오르는게 근원물가 상승세를 주도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서비스직 임금과 서비스 물가가 서로 주고받으며 동반 상승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경제와 K팝, 그리고 각종 영상 콘텐츠에 관한 글을 씁니다.
309
팔로워 922
팔로잉 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