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궁민
남궁민 인증된 계정 · 판교와 여의도 사이
2023/01/16
얼룩소는 '맥락 있는 미디어'를 표방합니다. 이 글은 1월 5일 교육부 업무보고의 발언의 맥락을 누차 밝혀온 대통령의 철학으로 연결한 맥락을 다루고 있습니다.

지금 이 시점의 대한민국에서 '교육은 서비스'라는 말은 유구한 교육 정책의 변화 끝에 닿아있습니다. 이 움직임은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범진영적으로 이어져왔습니다. '교육은 서비스'라는 말만 똑 떼어놓으면 밀턴 프리드먼의 논리 끝에 닿아 있는 듯 하지만, 실상은 진보적 교육을 지향한 움직임의 결과물에 가깝습니다.

교육의 맥락으로 풀어야 할 문제를 이념적 관점으로 바라보면서 오히려 맥락을 호도한 겁니다.


교육이 서비스가 될 때

지금 이 시점에 대한민국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는 고교학점제입니다. 올해부터 조기시행이 이뤄지고 내후년에는 전면 시행합니다. 학부모가 아닌 분을 위해 설명하면, 대학과 마찬가지로 자유롭게 듣고 싶은 과목을 신청해서 듣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드론 운영 개론>, <방송 저널리즘> 같은 수업이 개설돼 희망 진로에 따라 들을 수 있습니다.

고교학점제의 대전제는 내신의 절대평가화로 일률적인 평가를 배제하고 자유로운 수업을 듣게 하는 겁니다. 여기서 필요한 조건은 '다양한 수업'이겠죠. 지금의 국어, 영어 선생님 등 기존 교사로는 충족이 어렵습니다. 자연스럽게 지역 사회나 외부 교육기관, 기업 등과 연계한 수업 개방 가능성을 열어둔 제도입니다. 즉 이 시스템은 공교육의 경계를 허무는 게 불가피한 시장 지향적인 제도입니다.

실제로 2023년 시행을 앞두고 시범 운용을 한 학교는 지역 대학과 연계하거나(동작구 고교와 서울대), 지역 기업과 진로 과목을 개설(세종시의 학교와 지역 언론)하는 식으로 민간과 협력했습니다. 이런 흐름에서 최근에 교·사대를 폐지하고 교육전문대학원을 만들자는 얘기가 나온겁니다. 결과를 떠나 '변호사의 다양성 확대'를 위해 법전원 체제를 선택했듯, 교사도 민간과 공교육 기관 사이 어딘가를 오갈 수 있는 전문가 체제로 바꾸려는 움직임입니다.


교육의 서비스화·민간 개방·다양화의 유...
남궁민
남궁민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22
팔로워 400
팔로잉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