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5
1.
글 쓰기에 앞서, 조금 지친 저를 응원해 준 문장 하나를 소개하고 싶습니다.
가이브러쉬 님 @guybrush 의 댓글이었는데요.
이 댓글을 어떤 의도로 쓰셨는지 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만약 여기에 해설이 덧붙여지면 조금 멋이 없어질 것 같기도 해요. 하지만
저는 이전과 이후의 가이브러쉬 님과 어떤 인연이었고 어떻게 될지 몰라도, 이 문장을 기억할겁니다.
이때 저는 조금 지쳐있기도 했고, 나의 글쓰기에 무슨 의미가 있나 싶은 순간에 쓴 글이었거든요.
단지 두 문장의 댓글일 뿐인데도요.
2.
일부러 나섰습니다. 글을 읽고, 소통했던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아는 사람이라 더 그러하였습니다. 누가 보기에는 참 잔인한 일이고, 누가 보기엔 사람 죽이는 일이겠지요.
문장은 구원이 되기도 하고 칼이 되기도 한다 하였습니다. 그것이 구원이거나 칼이 되거나, 아름답기를 바라는 입장에서는 적어도 그 자신이 온전히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문학적으로 예쁘고 정갈함의 문제가 아닙니다. 묘사와 은유로 꾸밈의 문제가 아닙니다.
과거 제가 배운 가르침으로는, 적어도 창작자가 자신의 작품, 적어도 공개된 결과물을 함부로 비하하면 안된다는 것이었습니다. 비하하거나 모욕하는 순간, 그 작품으로 영향 받은 모든 이를 모욕하는 일이기 때문이라고 말이죠.
3.
저의 고민은, 이 순간에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느냐는 부분입니다.
돌아보고 싶지 않습니다. 그 대상이 영화이거나, 노래이거나, 일상이거나, 남의 글을 베껴다 태연하게 써올리는 사람이거나.
언젠가 후회하더라도 지우지 말고, 다음으로 이어가기 위해 필사적으로 쓰자.
그렇기에 저는 의도적으로 알아듣기 쉬운 문장으로만 구성하기도 하고, 맥락을 파고들어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씁니다.
글의 기준은 자기 자신입니다. 그것을 타인에게 두는 순간 괴로움은 시작됩니다.
적어도 한 순간은 머무르고 호흡을 가다듬습니다.
내 안에서 글이 제발 써달라고, 이 문장을 말해달라는 시기까지 억누릅니다.
저는 이 시간이 짧을 때도 ...
글 쓰기에 앞서, 조금 지친 저를 응원해 준 문장 하나를 소개하고 싶습니다.
이 댓글을 어떤 의도로 쓰셨는지 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만약 여기에 해설이 덧붙여지면 조금 멋이 없어질 것 같기도 해요. 하지만
저는 이전과 이후의 가이브러쉬 님과 어떤 인연이었고 어떻게 될지 몰라도, 이 문장을 기억할겁니다.
이때 저는 조금 지쳐있기도 했고, 나의 글쓰기에 무슨 의미가 있나 싶은 순간에 쓴 글이었거든요.
단지 두 문장의 댓글일 뿐인데도요.
2.
일부러 나섰습니다. 글을 읽고, 소통했던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아는 사람이라 더 그러하였습니다. 누가 보기에는 참 잔인한 일이고, 누가 보기엔 사람 죽이는 일이겠지요.
문장은 구원이 되기도 하고 칼이 되기도 한다 하였습니다. 그것이 구원이거나 칼이 되거나, 아름답기를 바라는 입장에서는 적어도 그 자신이 온전히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문학적으로 예쁘고 정갈함의 문제가 아닙니다. 묘사와 은유로 꾸밈의 문제가 아닙니다.
과거 제가 배운 가르침으로는, 적어도 창작자가 자신의 작품, 적어도 공개된 결과물을 함부로 비하하면 안된다는 것이었습니다. 비하하거나 모욕하는 순간, 그 작품으로 영향 받은 모든 이를 모욕하는 일이기 때문이라고 말이죠.
3.
저의 고민은, 이 순간에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느냐는 부분입니다.
돌아보고 싶지 않습니다. 그 대상이 영화이거나, 노래이거나, 일상이거나, 남의 글을 베껴다 태연하게 써올리는 사람이거나.
언젠가 후회하더라도 지우지 말고, 다음으로 이어가기 위해 필사적으로 쓰자.
그렇기에 저는 의도적으로 알아듣기 쉬운 문장으로만 구성하기도 하고, 맥락을 파고들어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씁니다.
글의 기준은 자기 자신입니다. 그것을 타인에게 두는 순간 괴로움은 시작됩니다.
적어도 한 순간은 머무르고 호흡을 가다듬습니다.
내 안에서 글이 제발 써달라고, 이 문장을 말해달라는 시기까지 억누릅니다.
저는 이 시간이 짧을 때도 ...
글로 먹고 사는 재주가 있는 사람입니다.
재미있어 보이면 덤벼들고, 갈 수 있는 곳까지 파고듭니다.
어쩐지 어디서 읽었다 싶은 글이면 그거 쓴 것도 저일 수 있습니다.
@퇴치1 제가 탁월해 보이는 것은 확실하게 칠 수 있는, 아는 곳만 치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렇게 봐 주셨다면 성공했네요>_<!!)
전반적으로 내용에 영감을 받은 것처럼, 퇴치1님의 댓글에 공감합니다. 물론 첨삭과 논증과 수정이 마냥 멋지지 않을 수도 있어요. (이건 조금 넓은 범위에서 대화의 프레임을 짜는 단위의 이야기가 됩니다./거론할 가치가 없는 글을 거론하면서 프레임으로 끌어들이는 것도 기술 중 하나입니다.)
자신이 많이 들어가신 글에 대해 경계하신다면, 글을 쓰실 때는 편하게 여기서는 나를 드러내버리자! 하고 나서 쓴 후에 나중에 읽을 때 쓴 부분을 들어내세요.
오히려 글에 나를 넣지 말자는 의식이 더욱 도드라질 수 있습니다.
사안의 상황을 떠나서 즐거운 소통이었습니다. 자주 뵙고 싶네요.
당연히 내 글도 남의 글도 무조건적으로 사랑할 순 없습니다. 때로 직설적으로 다른 의견을 전달해야 할 일도 있겠죠(서설 님이 정말 탁월하게 해내시던데요 ㅎㅎ). 다만 비판의 화살이 남을 향할 땐, 최소한의 존중을 갖춰, 납득 가능한 논리로 전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썼습니다.
한 분만 직접 거명해 말했지만, 박 스테파노 님을 위시한 몇몇 분들한테 이런 모습을 찾진 못했습니다. 스테파노 님은 자주 '자신'이기 때문에 얼룩소로부터 이런 대우를 받는다고 말씀해 오셨습니다. 반대로 돌려드리면 그분의 비난을 받는 (불)특정 필진은 얼룩소로부터 '영입'되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그 같은 비난에 시달려야 했다고 봅니다. 타인의 글에서 가독성이나 인사이트를 운운하는 것치고 어디가 어떻게 부족한지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경우는 못 봤으니까요. 그 점을 얘기하고 싶었습니다(일전에 황교익 씨가 윤 대통령이 쓴 짧은 축사를 하나하나 첨삭하신 적이 있었죠. 왜 이 글이 후진지 차근히 논증하고 수정하시는 것을 보고 감탄했습니다. 글에 대한 비판과 공격은 이런 식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많이 들어간 글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추구하는 글쓰기 방향이 아니기도 하지만, 그런 종류의 글이 지나친 자기 과시 혹은 자기 연민으로 빠지는 경우를 왕왕 봐왔기에 조심스러워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솔직히 이 공간에 이렇게 '내'가 많이 들어간 글을 쓰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남겨주신 글 때문에 다시 읽으니 좀 구질구질한 것 같기도 하네요 😂. 아마도 시간이 더 흐르면 또 한 번 이불킥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럼에도 진지하게 읽어주시고 진솔한 글 남겨주신 점 감사합니다.
무엇보다도 현역 작가께서 전수하신 팁, 유념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오래 간직할 글을 주셨네요. 정말.
당연히 내 글도 남의 글도 무조건적으로 사랑할 순 없습니다. 때로 직설적으로 다른 의견을 전달해야 할 일도 있겠죠(서설 님이 정말 탁월하게 해내시던데요 ㅎㅎ). 다만 비판의 화살이 남을 향할 땐, 최소한의 존중을 갖춰, 납득 가능한 논리로 전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썼습니다.
한 분만 직접 거명해 말했지만, 박 스테파노 님을 위시한 몇몇 분들한테 이런 모습을 찾진 못했습니다. 스테파노 님은 자주 '자신'이기 때문에 얼룩소로부터 이런 대우를 받는다고 말씀해 오셨습니다. 반대로 돌려드리면 그분의 비난을 받는 (불)특정 필진은 얼룩소로부터 '영입'되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그 같은 비난에 시달려야 했다고 봅니다. 타인의 글에서 가독성이나 인사이트를 운운하는 것치고 어디가 어떻게 부족한지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경우는 못 봤으니까요. 그 점을 얘기하고 싶었습니다(일전에 황교익 씨가 윤 대통령이 쓴 짧은 축사를 하나하나 첨삭하신 적이 있었죠. 왜 이 글이 후진지 차근히 논증하고 수정하시는 것을 보고 감탄했습니다. 글에 대한 비판과 공격은 이런 식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많이 들어간 글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추구하는 글쓰기 방향이 아니기도 하지만, 그런 종류의 글이 지나친 자기 과시 혹은 자기 연민으로 빠지는 경우를 왕왕 봐왔기에 조심스러워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솔직히 이 공간에 이렇게 '내'가 많이 들어간 글을 쓰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남겨주신 글 때문에 다시 읽으니 좀 구질구질한 것 같기도 하네요 😂. 아마도 시간이 더 흐르면 또 한 번 이불킥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럼에도 진지하게 읽어주시고 진솔한 글 남겨주신 점 감사합니다.
무엇보다도 현역 작가께서 전수하신 팁, 유념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오래 간직할 글을 주셨네요. 정말.
@퇴치1 제가 탁월해 보이는 것은 확실하게 칠 수 있는, 아는 곳만 치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렇게 봐 주셨다면 성공했네요>_<!!)
전반적으로 내용에 영감을 받은 것처럼, 퇴치1님의 댓글에 공감합니다. 물론 첨삭과 논증과 수정이 마냥 멋지지 않을 수도 있어요. (이건 조금 넓은 범위에서 대화의 프레임을 짜는 단위의 이야기가 됩니다./거론할 가치가 없는 글을 거론하면서 프레임으로 끌어들이는 것도 기술 중 하나입니다.)
자신이 많이 들어가신 글에 대해 경계하신다면, 글을 쓰실 때는 편하게 여기서는 나를 드러내버리자! 하고 나서 쓴 후에 나중에 읽을 때 쓴 부분을 들어내세요.
오히려 글에 나를 넣지 말자는 의식이 더욱 도드라질 수 있습니다.
사안의 상황을 떠나서 즐거운 소통이었습니다. 자주 뵙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