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와 경성
2023/11/06
비행기와 경성
如鳥如雲葉 새 같기도 하고 구름 같기도 한데
非空莫可支 공중에서도 지지하지 못함이 아니네.
仰同天下目 천하 눈들이 함께 올려다보아도
理小世間知 세속의 지혜로는 이해하기 어렵도다.
1923년 <동아일보> 현상공모에서 상병(賞丙, 3등)으로 뽑힌 이 한시의 제목은 ‘비행기(飛行機)’이다. 작자인 한태규의 이력은 현재 파악이 어렵지만, 한문교양을 갖춘 지식계층 인사로 추정된다. 1연과 2연이 비행기가 비행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면 3연과 4연은 그 비행을 바라보는 사람들을 그려내고 있어 흥미롭다.
‘천하 눈들이 함께 올려다보아도’라는 구절에서는 당대 근대문명의 최첨단에 위치한 비행기라는 기계를 구경하기 위해 모여든 수많은 군중이 연상되며, ‘세속의 지혜로는 이해하기 어렵도다’라는 표현에서는 이 낯선 기계(기술)의 위력을 목도한 작자의 당혹감이 전달된다. 전통적 교양을 갖춘 지식인인 작자는 비행기를 접한 감상을 한시라는 고급한 양식으로 풀어낼 수는 있었지만, 그 기계(기술)의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짐작조차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행기’와 ‘비행술’이라는 이 신기술이 지상에 발붙이고 살아가는 자들 모두의 삶을 크게 바꿔놓을 것이라는 예감이 작자로 하여금 이 한시를 짓고 또 현상공모에 투고까지 하도록 추동했을 것이다.
비행(기)의 원리가 ‘세속의 지혜’로는 파악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천하 눈들이 함께 올려다보아도’라는 구절에서는 당대 근대문명의 최첨단에 위치한 비행기라는 기계를 구경하기 위해 모여든 수많은 군중이 연상되며, ‘세속의 지혜로는 이해하기 어렵도다’라는 표현에서는 이 낯선 기계(기술)의 위력을 목도한 작자의 당혹감이 전달된다. 전통적 교양을 갖춘 지식인인 작자는 비행기를 접한 감상을 한시라는 고급한 양식으로 풀어낼 수는 있었지만, 그 기계(기술)의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짐작조차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행기’와 ‘비행술’이라는 이 신기술이 지상에 발붙이고 살아가는 자들 모두의 삶을 크게 바꿔놓을 것이라는 예감이 작자로 하여금 이 한시를 짓고 또 현상공모에 투고까지 하도록 추동했을 것이다.
비행(기)의 원리가 ‘세속의 지혜’로는 파악되기 어려운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