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환민
김환민 인증된 계정 · 사회운동가
2024/04/19
정치권에서도 연동형 비례제의 문제에 대해 알고는 있지만, 발전안은 부실하다.

  계속 알아보았듯, 연동비례제는 산식이 허술하여 문제가 많습니다. 이는 '계산법이 복잡하다'는 일반의 평가와는 달리, 계산 과정이 좀 길 뿐 그 설계는 매우 단순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비례위성정당이 나오지 않고 연동비례제가 제기능을 하는 방법으로 보통 '캡'이라는 시스템이 논의되곤 합니다. 그렇다면 이 캡은 무엇일까요? 답은 지난 21대 총선에서 보여준 방식인 병립형 + 연동형 믹스 시스템입니다.
21대 총선 결과를 총 46석의 비례의석을 반영해 재계산한 결과
  21대 총선에서 총 비례 의석 수는 47석으로, 이 중 17석이 병립형이고 30석이 연동형이었습니다. 즉, 21대 총선은 47석 중 연동형 비례의석 30석이라는 '캡'을 씌운 것입니다. 하지만 1장에서 살펴본 결과처럼, 연동형 의석 수를 병립형의 두 배 가까이 배정한 정도로는 위성정당을 만들 유인이 제대로 견제되지 못했습니다. '지역구 의석 수'가 얼마나 나올지 알 수가 없는 상황에서 위성정당 없이 부모 정당이 비례후보를 내는 것 자체가 리스크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완전 병립형으로 의석수를 할당했을 경우, 의석 수에서 가장 큰 손해를 보는 것은 민주당입니다. 병립형일 시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은 동일하게 17석의 비례의석을 획득하는데, 미래통합당은 지역구 선거에서 참패를 했기 때문에 연동배분 계산으로 인한 의석 손실을 최소화(미래통합당 -3석, 더불어민주당 -11석)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판단은 결국 '지역구 선거에서 패배할 것이다'라는 사전 예측 없이는 걸 수 없는 도박이며, '의석 수 손실을 감수해서라도 원칙을 지키겠다'는 선거전략은 한국 보수진영의 특성 상 미래통합당이 꺼낼 수 없는 선택지였습니다.
  석패율제가 거론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만, 이름값 높은 중진 의원이 지역구에 출마하면서 '보험'으로 비례 의석을 차지할...
김환민
김환민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IT, 게임, 문화산업 전반을 아우르며 전문가 활동 및 노동운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since 2015)
33
팔로워 801
팔로잉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