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성 자본주의’의 확산과 ‘양서류형 인간’의 탄생
2023/11/28
‘점성 자본주의’의 확산과 ‘양서류형 인간’의 탄생 - 최명익, 「비 오는 길」
「비 오는 길」의 ‘병일’은 “성문 밖”의 “신흥 상공 도시”의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이다. ‘병일’이 자신의 집에서 그 공장에까지 가기 위해서는 “부행정 구역도”의 “좁은 비탈길”을 걸어가야 한다. 이 “길”은 “봄이면 얼음 풀린 물” 때문에 “질”었으며, “여름이면 장마 물이 그 좁은 길을 개천 삼아” 흐르기까지 했다. 더구나 길을 걷다 조금만 정신을 놓쳐도 “반드시 영양 불량 상태인 아이들의 똥을 밟”게 되는 질척한 길이다. 이 길을 걷다보면 아무리 조심을 하게 되더라도 “자신이 아끼는 구두 콧등을 여지없이 망쳐버리”게 된다.
또한 이 길 주변으로는 “빈민굴”이 모여 있어 “동편 집들의 변소 수덩에서 어정거리는 개들과, 서편 집들의 부엌에서 행길로 뜨물을 내쏟는 안질 난 여인들”을 보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 골목에, 간혹 들어박힌 고가의 기왓장에 버짐같이 돋친 이끼가 아침이슬에 젖어 초록빛을 보이는” 것으로 봄이 왔음을 알게 되는 그런 길이다. “이 골목을 지나가면 갓 닦아 놓은 넓은 길이 나오지만 그곳도 아직 시가다운 시가를 이루지 못”한 것은 마찬가지다. 그곳엔 아직도 집이 채 들어서지 않았으며 “시탄 장사, 장목 장사, 옹기 노점, 시멘트로 만드는 토관 제조장 등”의 장사터가 예전 모양으로 그대로 남아 있었다.
“각기병” 때문에 다리가 좋지 않은 ‘병일’에게 이 길은 “걷기 힘든 길”이었다. 하지만 ‘병일’은 “이 년” 동안이나 줄곧 이 길을 걸어 다녔다. “성문 안”에 “신작로의 수직선으로 뚫린 시가”가 있지만 ‘병일’은 그 길로 공장엘 가지 않고 성문 밖의 길로만 다니곤 한다. 성문 안의 도시는 그저 지나가는 길에 멀찍이 바라다 보이는 풍경에 지나지 않는다.
「비 오는 길」의 초두를 장식하는 ‘질척한 길’...
@박다은 액체 근대랑 비스무리한 개념입니다.
@나영 별 말씀을요. 감사합니다.
대단하군요. 점성 자본주의라니....
이렇게 글을 쓰려면 공부를 얼마나 많이 해야하나요. 잘 봤습니다. 선생님.
@정지민 점성. 그 끈적끈적한 성질이 핵심일테죠. 쓰고 보니 두꺼비한테 미안하네요. ㅜㅠ
@캘리뽀냐 경성이랑 비슷해 보이지 않나요?
두꺼비 같은 놈! 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니군요.ㅎㅎ
일제 강점기 평앙 모습을 보니 참 신기하네요.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대단하군요. 점성 자본주의라니....
이렇게 글을 쓰려면 공부를 얼마나 많이 해야하나요. 잘 봤습니다. 선생님.
두꺼비 같은 놈! 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니군요.ㅎㅎ
일제 강점기 평앙 모습을 보니 참 신기하네요.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