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어놓고 말해보자면] 한국은 지금 조선왕조가 무너지듯이 무너지고 있다

김성우의 <조선중기 국가와 사족> 출처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197418
요즘 김성우<조선중기 국가와 사족>을 다시 꼼꼼하게 읽어보고 있다. 어떤 기시감 때문이다. 조선왕조는 양천제(良賤制)라는 신분제적 질서에 입각하여 양인들에게 공전(公田)을 지급하고 그들을 공민(公民)으로 동원하는 국역체제(國役體制)를 운영하였다. 이러한 기조를 제민(齊民)정책이라 부른다. 그런데 김성우에 따르면 15세기부터 17세기에 이르기까지의 사족집단의 형성과 확장은 전제국가의 근간인 공전과 공민층을 붕괴시키고 국역체제를 해체시킴으로써 이뤄진 것이었다. 200여년 동안 조선왕조의 지배계층은 선물경제를 통해 형성한 전국적 규모의 네트워크와 노비제를 활용해 전국적인 규모의 농장을 운영하며 번창했지만, 정작 전제국가는 그로 인해 세수와 징발할 노동력으로서의 양인층을 잃어버렸고 끝내는 국역체제마저 해체되며 국가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인 안보국가로서의 능력을 상실하였다. 그것이 16세기 임진왜란,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의 연이은 전란과 치욕의 궁극적인 원인이었다. 이러한 치욕과 타격에도 불구하고 사족집단의 노비제와 신분제적 질서에 대한 집착은 17세기 이후로도 계속해서 이어지며 나라를 좀먹었다.

중국형 전제국가로 나라를 '개혁'하기 위해서는 소농자립화에 기초한 전제국가의 정착, 그리고 그를 위한 적절한 수준의 시장경제의 발전이 필수적이었지만 끝끝내 조선왕조는 노동력의 징발에 기초한 결부제시장경제에 기초한 결가제(結價制)로 바꾸는데 실패하였다. 조선왕조의 성취는 고작해야 결부제의 근거를 노동력의 징발에서 토지세 수취로 전환하는데 그쳤지, 그것을 극복하여 발전된 시장경제에 기초한 결가제로 대체하지는 못하였다. 엄밀하게 말하여 토지세 수취로의 전환은 노동력의 징발에 기초한 결부제와 생산력 발전에 따른 시장경제화 사이의 '모순'적 결합을 어떻게든...
혁명읽는사람
혁명읽는사람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https://contents.premium.naver.com/historia9110/historia91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35
팔로워 826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