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04
김민준 님의 답글을 읽고 저도 글을 써 보기로 했습니다. 댓글로 쓰면 너무 노출도가 떨어지는 것 같아서 새로운 답글로 써 보려고 합니다. 얼룩소가 이런 점은 좀 아쉬워요.
제가 쓴 글이 소재가 되어 긴 글을 누군가가 써주셨다는 것이 무척 좋네요. 저한테는 좀 드문 경험이라서요.
다만, 제 글보다 훨씬 공감수가 많으시다는 것이 좀 실망스러운데, 마음을 가라 앉히고 담담하게 써 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우선, 병신이라는 단어는 저도 쓰지 않습니다. 그것에는 너무 상대를 비하하는 느낌이라서 장애인 비하 여부와 떠나서 쓰지 않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친구들 간에 큰 악의 없이 서로 바보, 병신, 이런 말들을 웃으면서 주고 받는 걸 보곤 합니다. 그런 걸 보면 그런 방식의 소통에 대한 약간의 부러움이 느껴질 때도 있습니다. 제가 친구나 지인들과 소통하는 방식과는 다른데 나름의 매력이 있거든요. 또한편으로는 언어라는 것이 얼마나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는가, 하는 것에 대한 생각도 하게 됩니다.
단어란, 사전에 정의된 의미 뿐 아니라 그 단어가 사용되는 상황, 맥락, 주고 받는 사람들 간의 관계, 관행과 문화 등에 따라 매우 광범위하고 미묘한 차이의 의미들을 갖는 것 같습니다. 똑같은 병신이라고 하는 단어도 어떤 분쟁의 와중에 상대를 비하하기 위한 용도로 쓰일 때와 친구들 간에 주고 받는 악의없는 표현으로 쓰일 때는 무척 다른 의미를 갖습니다. 친구들 간에 쓰일 때도 사소한 불만의 표현이나 지적의 용도일 수도 있고, 너의 그런 면은 이상하고 웃기지만 나는 그걸 받아들인다는, 의식적이진 않지만 친근함과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소통의 방식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말을 편하게 할 수 있는 사이야, 하는 뜻도 포함할 수 있고, 너의 엉뚱한 면이 나를 웃게 해 하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제가 직접 참여해서 경험한 적은 거의 없는 소통의 방식이지만, 그런 방식의 소통들이 있는 것 같고(왠지 배우 황정민 씨의 "야, 이, 병신아!" 하는 목소리가 떠오르는군요...
제가 쓴 글이 소재가 되어 긴 글을 누군가가 써주셨다는 것이 무척 좋네요. 저한테는 좀 드문 경험이라서요.
다만, 제 글보다 훨씬 공감수가 많으시다는 것이 좀 실망스러운데, 마음을 가라 앉히고 담담하게 써 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우선, 병신이라는 단어는 저도 쓰지 않습니다. 그것에는 너무 상대를 비하하는 느낌이라서 장애인 비하 여부와 떠나서 쓰지 않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친구들 간에 큰 악의 없이 서로 바보, 병신, 이런 말들을 웃으면서 주고 받는 걸 보곤 합니다. 그런 걸 보면 그런 방식의 소통에 대한 약간의 부러움이 느껴질 때도 있습니다. 제가 친구나 지인들과 소통하는 방식과는 다른데 나름의 매력이 있거든요. 또한편으로는 언어라는 것이 얼마나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는가, 하는 것에 대한 생각도 하게 됩니다.
단어란, 사전에 정의된 의미 뿐 아니라 그 단어가 사용되는 상황, 맥락, 주고 받는 사람들 간의 관계, 관행과 문화 등에 따라 매우 광범위하고 미묘한 차이의 의미들을 갖는 것 같습니다. 똑같은 병신이라고 하는 단어도 어떤 분쟁의 와중에 상대를 비하하기 위한 용도로 쓰일 때와 친구들 간에 주고 받는 악의없는 표현으로 쓰일 때는 무척 다른 의미를 갖습니다. 친구들 간에 쓰일 때도 사소한 불만의 표현이나 지적의 용도일 수도 있고, 너의 그런 면은 이상하고 웃기지만 나는 그걸 받아들인다는, 의식적이진 않지만 친근함과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소통의 방식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말을 편하게 할 수 있는 사이야, 하는 뜻도 포함할 수 있고, 너의 엉뚱한 면이 나를 웃게 해 하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제가 직접 참여해서 경험한 적은 거의 없는 소통의 방식이지만, 그런 방식의 소통들이 있는 것 같고(왠지 배우 황정민 씨의 "야, 이, 병신아!" 하는 목소리가 떠오르는군요...
궁금하고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주제에 대해 배우고자 노력하고, 깨달아지는 것이 있으면 공유하고 공감을 구하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루시아님 감사합니다. ^^
루시아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