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03
이 글은 서툰댄서님의 답글을 읽고 생각이 나서 쓰게 되었습니다.
저는 '결정장애'라는 단어를 쓰지 않습니다. '어느 하나를 확실히 고르지 못하는 행위'를 굳이 '장애'라는 표현을 이용해서 설명을 할 이유가 없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서툰댄서님의 말씀처럼 '이 정도 단어는 써도 된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가 있죠. 그렇다면 어떤 단어를 쓰지 않고 어떤 단어를 쓸지 우리는 무슨 기준에 따라 결정해야 할까요?
'병신'이라는 단어를 예로 들어봅시다. 일상에서 너무 쉽게 사용하는 욕설이죠. 이 단어는 본래 생길 때부터 장애인을 일컫는 말이었기 때문에 이 단어가 장애인을 비하하는 표현이 될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그런데 이 단어가 장애인 비하라면서 쓰지 말자는 얘기가 본격적으로 나온 것은 2016년입니다. 예, 2016년은 병신년(丙申年)이었습니다. 그저 육십간지의 서른 세 번째 해일 뿐이었죠.
그런데 그 해에는 참 이상한, 어쩌면 예상 가능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박근혜 병신년'이라는 표현이 여기저기서 쓰인 것입니다. 집권여당이 잘못된 일을 할 때마다 박근혜는 '병신'이 되었으며, 일부 만화가들이나 만평가들은 이에 질세라 박근혜와 병신년을 연관짓는 캐리커처를 그리기도 했습니다.
그때 제 주변에서는 '병신년 소재 농담 NO' 해시태그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병신'은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이며, '년'은 여성을 비하하는 표현이기 때문에 이것을 농담으로 사용하지 말자는 것. 당시 저도 참여했어요. 분명 문제가 있어 보였기 때문이죠. 하지만 꽤 많은 이들이 '병신이란 말을 쓰지 말자'는 해시태그 운동에 반발했습니다.
'병신'이라는 단어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
2018년, 서울대학교의 장애인권동아리 '턴투에이블'의 여섯 번째 문집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턴투에이블은 서울대가 아직도 물리적, 제도적으로 베리어프리하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해 장애 여부와 무관하게 함께 고민하고 행동하고자 만들어진 동아리입니다. 해당 ...
저는 '결정장애'라는 단어를 쓰지 않습니다. '어느 하나를 확실히 고르지 못하는 행위'를 굳이 '장애'라는 표현을 이용해서 설명을 할 이유가 없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서툰댄서님의 말씀처럼 '이 정도 단어는 써도 된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가 있죠. 그렇다면 어떤 단어를 쓰지 않고 어떤 단어를 쓸지 우리는 무슨 기준에 따라 결정해야 할까요?
'병신'이라는 단어를 예로 들어봅시다. 일상에서 너무 쉽게 사용하는 욕설이죠. 이 단어는 본래 생길 때부터 장애인을 일컫는 말이었기 때문에 이 단어가 장애인을 비하하는 표현이 될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그런데 이 단어가 장애인 비하라면서 쓰지 말자는 얘기가 본격적으로 나온 것은 2016년입니다. 예, 2016년은 병신년(丙申年)이었습니다. 그저 육십간지의 서른 세 번째 해일 뿐이었죠.
그런데 그 해에는 참 이상한, 어쩌면 예상 가능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박근혜 병신년'이라는 표현이 여기저기서 쓰인 것입니다. 집권여당이 잘못된 일을 할 때마다 박근혜는 '병신'이 되었으며, 일부 만화가들이나 만평가들은 이에 질세라 박근혜와 병신년을 연관짓는 캐리커처를 그리기도 했습니다.
그때 제 주변에서는 '병신년 소재 농담 NO' 해시태그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병신'은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이며, '년'은 여성을 비하하는 표현이기 때문에 이것을 농담으로 사용하지 말자는 것. 당시 저도 참여했어요. 분명 문제가 있어 보였기 때문이죠. 하지만 꽤 많은 이들이 '병신이란 말을 쓰지 말자'는 해시태그 운동에 반발했습니다.
'병신'이라는 단어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
2018년, 서울대학교의 장애인권동아리 '턴투에이블'의 여섯 번째 문집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턴투에이블은 서울대가 아직도 물리적, 제도적으로 베리어프리하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해 장애 여부와 무관하게 함께 고민하고 행동하고자 만들어진 동아리입니다. 해당 ...
5년차 오마이뉴스 시민기자고, 다양한 이슈에 대한 글을 씁니다. 청년정책 및 거버넌스 관련해서 활동하는 활동가이기도 하고요, 정당에도 몸담고 있는 중이에요.
instagram @minjun7682
신체적이던 정신적으로 고지식하던 둘다 포함해서 사용이 되었다 합니다. 사람들의 감정상태에 따라서 욕설이 아니어도 만들어진다고 생각해요. 뱉는 이의 의도는 태도부터 표가 나기 마련이니까요.
병신이란 단어의 발생학적인 부분은 아무도 알 수 없지 않을까 합니다.
단순히 글자로 본다면 병이라는 글자와 몸이라는 글자가 합쳐져 있는 형태이지요.
이 단어가 생겼을때 과연 비하의 함의를 가진 단어였는진 단지 일반적 의미를 지닌 말로 쓰인건지 알 수가 있을까요.
물론 이 단어가 만들어진 시대에서 신체의 건강함은 곧 자산이었으니 부정젹 의미를 지녔을 가능성은 농후합니다.
제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단어가 죄는 없다는 겁니다.
병신이란 단어가 논쟁이 된게 2016년부터라고 하셨는데 사실은 그긧보다 더 오래된 이야기입니다.
8, 90년대에 이미 그런류의 내용들이 있었죠.
단지 지금처럼 온라인이 발달된 상황이 아니다보니 확산세가 지금보다 못했던건 맞지만 그 당시에도 각종매체에서 다루었을 정도 였으니까요.
그래서 80년대 후반정도에는 장애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죠.
그러다가 90년대 후반쯤 장애인도 부정적이라면서 장애우로 바뀌었죠.
그리고 장애라는 단어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고 다른 단어를 만들자고 이야기가 나오는 걸로 압니다.
결국 단어라는 것은 사용하는 사람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또는 어떻게 사용도어지느냐에 따라 비하도 칭찬도 될 수 있는게 아닐까요.
병신이라는 단어를 단순히 장애우를 뜻하는 걸로 받아들여지느냐, 올바른 행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비판 또는 비난의 의미로 받아들여지느냐는 사회적공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봐야겠죠.
저 또한 후천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으로써 병신이란 단어에 감정적 영향을 받진 않습니다.
이러한 단어에 감정적 영향을 받으시는 분들이 느끼는 박탈감이라는게 결국은 그 분들의 문제가 아니라 아직까지 그 분들을 우너 사회의 구성원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회적 환경 때문은 아닐까요.
내가 들었을 때 좋지 않은 말은 타인을 향해서 말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욕나올만한 사건사고도 많지만 일상에서의 사용하기엔 줄여나가는게 좋을 것 같아요.
저도 평소에는 친한칭구들끼리
좀욕을 하는 편이긴 한데 저단어는
절대 욕으로라도쓰진않아요
하는사람도 듣는사람도 기분나뿔수있기에
욕은 되도록 안하는게 좋겠죠
저또한 반성합니다
평소에 욕을 입 밖으로 꺼내는 것을 싫어하는 저로써는 이 주제에 대해 깊게 생각하지 않았고 만약 이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을 이해하려고 까지 생각도 들지 않네요 ㅎㅎ 당연 민준님께서 말씀 하신 것처럼 사용하지 않겠습니다!! + 저는 장애인이라는 단어도 장애우라고 바꿔서 말해요!(TMI였습니다 ㅠㅠ)
인간에 대부분은 병신이라는 말을 아주 쉽게 내뱉어 말한다.
이해관계가 형성된 사이, 또는 유대관계가 형성된 조직이나 집단간에는 '병신'이란 단어를 써도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유하게 흡수할 수 있다고 생각되집니다. 님의 말씀대로 이 단어는 받아들일때 해석과 감정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논쟁은 필연적인 단어 같아요. 공과 사를 떠나 이해관계가 없는 입장에서는 그 환경에 맞춰서 조심하는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상대가 되서 생각하면 되지않을까요?
내가 들었을때 좋지않다면 쓰지않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쉽게 내뱉을 수도 있는 말에는 큰 힘이 담겨 있죠.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욕도 삼가할 필요도 있고요. 친한 친구가 위에 언급된 '병신'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해도 그 이유를 모르더라고요. 사실 들으려고도 하지 않아요. 참...안타깝습니다
말에는 힘이 있습니다. 듣는 순간, 말하는 순간, 그 단어들이 살아나서 나에게, 상대방에게 고스란히 전달됩니다. '쓰고', '안 쓰고'의 문제는 각자 알아서 하는 것이겠지만, '말대로 된다는 것' 을 육아를 통해서 체험한 한 사람으로서, 이런 글을 통해 각자 잘 생각하고, 잘 선택하길 바라는 마음 뿐입니다.
토의의 장을 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병신’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으려 합니다. 주변에서 사용하는 친구가 있다면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하기도 합니다.
한 단어가 사회에서 받아들여지는 의미는 시대에 따라 변해가기도 하고 사전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가 다른 경우도 있지요. 그래서 ‘병신’이라는 단어자체가 사라져야 한다고는 생각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병신’이라는 단어는 사전적으로 ‘신체의 어느부분이 온전치 못한 사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 말이 지칭하는 ‘당사자’들이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분명히 존재하며, 심지어 사회적소수자인 현실입니다. 우리 사회의 구성원인 사회적 소수자를 칭하는 뜻을 가진 단어를, 당사자가 아닌 사람들이, 남을 비하하거나 조롱할 때 쓰는 것이 저는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신체가 온전치 않은 사람을 칭하는 단어라는데,
실제로 사용할 땐 대상의 신체 상태와는 무관하게 인격적으로 비하하거나 조롱할 때 사용되죠. 우리는 모두 불완전한데, 여러 불완전성 중 특정 불완전성을 남을 욕할 때 사용한다는 점도 지금 생각해보니 속상한 것 같네요. 불완전성 중에서도 위계가 있는 걸까요
또, 글에서도 제시해 주셨듯 해당 단어가 기분 나쁜 사람도 있다고 하니까요, 사실 저는 요 한가지 이유만으로도 어떤 말을 쓰는 데 조심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는 편이기도 합니다 ㅎㅎ
덕분에 이런저런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정리되지 못한 말뭉치들을 달고 가게 되었네요. 🤔 평소에 쓰지않는 단어를 많이 썼더니 왠지 hp가 딸리는 기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이런 글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는, [아! 앞으로 이런 단어를 쓸 때 조심해야겠다!] 라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다른 사람에게 특정 단어를 쓰면 안 된다고 말하는 게 참 어려운 일인 것 같습니다. 즉, 인용해주신 문장 안에서 드러났던 것처럼 [써도 된다, 안 된다]는 식으로 결론을 빨리 내릴 수 없다는 느낌이랄까요.
글을 보면서 스스로의 입장을 조금 [유보]하는 느낌이 들어서 뭔가 답댓글이 명확하지 않네요. ㅠ 그래도 좋은 글 써주셔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많은 곳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욕의 어원을 살펴봅니다. 상대방을 비난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하는 욕에 장애나 질병을 지칭하는 단어가 많은 것은 우연일까요. 일상어가 되어버린 욕의 어원까지 끄집어 내서 불편한 일을 자처하는 일도 단어 하나로도 차별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들에 대한 시선도 이제는 함께 이야기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진짜 사회적 합의를 위해서요. 좋은 글 감사해요!
병신이란 단어의 발생학적인 부분은 아무도 알 수 없지 않을까 합니다.
단순히 글자로 본다면 병이라는 글자와 몸이라는 글자가 합쳐져 있는 형태이지요.
이 단어가 생겼을때 과연 비하의 함의를 가진 단어였는진 단지 일반적 의미를 지닌 말로 쓰인건지 알 수가 있을까요.
물론 이 단어가 만들어진 시대에서 신체의 건강함은 곧 자산이었으니 부정젹 의미를 지녔을 가능성은 농후합니다.
제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단어가 죄는 없다는 겁니다.
병신이란 단어가 논쟁이 된게 2016년부터라고 하셨는데 사실은 그긧보다 더 오래된 이야기입니다.
8, 90년대에 이미 그런류의 내용들이 있었죠.
단지 지금처럼 온라인이 발달된 상황이 아니다보니 확산세가 지금보다 못했던건 맞지만 그 당시에도 각종매체에서 다루었을 정도 였으니까요.
그래서 80년대 후반정도에는 장애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죠.
그러다가 90년대 후반쯤 장애인도 부정적이라면서 장애우로 바뀌었죠.
그리고 장애라는 단어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고 다른 단어를 만들자고 이야기가 나오는 걸로 압니다.
결국 단어라는 것은 사용하는 사람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또는 어떻게 사용도어지느냐에 따라 비하도 칭찬도 될 수 있는게 아닐까요.
병신이라는 단어를 단순히 장애우를 뜻하는 걸로 받아들여지느냐, 올바른 행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비판 또는 비난의 의미로 받아들여지느냐는 사회적공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봐야겠죠.
저 또한 후천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으로써 병신이란 단어에 감정적 영향을 받진 않습니다.
이러한 단어에 감정적 영향을 받으시는 분들이 느끼는 박탈감이라는게 결국은 그 분들의 문제가 아니라 아직까지 그 분들을 우너 사회의 구성원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회적 환경 때문은 아닐까요.
말에는 힘이 있습니다. 듣는 순간, 말하는 순간, 그 단어들이 살아나서 나에게, 상대방에게 고스란히 전달됩니다. '쓰고', '안 쓰고'의 문제는 각자 알아서 하는 것이겠지만, '말대로 된다는 것' 을 육아를 통해서 체험한 한 사람으로서, 이런 글을 통해 각자 잘 생각하고, 잘 선택하길 바라는 마음 뿐입니다.
긴 글로 답글 주신 것 감사드리고, 저도 저의 생각을 답글로 달아 보았습니다.^^ https://alook.so/posts/2xtx3PG
욕의 어원을 들여다보면 얼마나 장애인 등 약자의 인권이 오랜 시간 바닥이었는지를 알게 되죠. 속담에도 등장할 정도니까요. 이 부분에 대해 관심이 많아요. 관련 글도 쓰고 싶었고. 언젠가 정리가 되면 적어봐야겠어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는 특정 단어에 대한 사용을 제한 하는 건 불가능하며, 할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글이든 말이든 내가 어떤 의도로 말을 하든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달라서 괜찮을 줄 알았는데 상처 받을 수도 있고, 상처 받으라고 하는 말에 별 신경을 안 쓸 수도 있는데 제한한다는 게 의미가 있을 거 같지 않습니다.
특정 단어를 쓰면 된다 안된다? 의 논쟁보다 특정단어에 누군가가 불괘감을 느낀다면 그 단어는 안쓰는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합니다. 맞는 비유인지 모르겠지만, 성희롱의 기준은 내가 한 말에 상대방이 성적 불쾌감을 느낌다면 성희롱이다 라고 본인은 생각합니다. 이와 같이 특정 단어에 대해 쓴다 안쓴다 보다 그 단어를 사용시 누군가가 불쾌감을 느낀다면 쓰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