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경제학의 프레임에 도전장을 내밀다

수월
수월 · 시골에서 책 읽고 글쓰기
2023/08/15
[서평] 대니얼 카너먼, <생각에 관한 생각>

<생각에 관한 생각>은 인간의 생각이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발현되는지를 밝히는 흥미로운 책이다. 언뜻 보기에 심리학 서적 같은 '아우라'를 풍기지만, 이 책은 '행동경제학'의 '바이블'로 평가받는 대니얼 카너먼의 역작이다. 

2002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대니얼 카너먼은 수많은 경제학자들을 제치고 심리학자로서는 최초로 노벨 경제학상을 움켜진 이스라엘 출신의 천재 심리학자다. 대니얼 카너먼은 경제학과 심리학의 경계를 너머 진정한 학문의 '통섭'을 이끌어 낸 석학으로 평가받는다. 현대 경제학의 새로운 조류인 '행동경제학'은 심리학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인간을 경제활동의 주체로 본다면 인간의 행동을 좌우하는 생각의 흐름을 읽어내는 것이야 말로 경제 분석과 전망의 대부분일 것이다. 

자본주의의 위기와 더불어 '사회적 경제' '협동조합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행동경제학' 분야도 주목받고 있다. 행동경제학은 '인간은 합리적 존재'라는 고전경제학의 명제를 거부한다. 

아담 스미스로 대표되는 고전경제학의 자기조절시장 논리는 인간의 합리성에 기초하고 있다. 고전경제학은 경제 주체인 '합리적인 인간'이 효율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그의 선택은 늘 합리적일 수 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효율성이란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 것인데, 이러한 선택을 하려면 인간이 합리적 존재일 수 밖에 없다는 논지다. 때문에 합리적 인간들의 선택과 행동이 이루어지는 '시장'은 완벽한 자기조절능력을 갖추게 된다. 고전경제학이 시장의 실패를 인정하지 않는 이유다. 

반면 행동경제학은 '인간은 합리적이다'라는 전제를 부정한...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7
팔로워 13
팔로잉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