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운 노년생활] 죽음은 하늘의 뜻일까, 인간의 의지일까?
2024/05/23
- 영화 <밍크코트>가 주목한 죽음의 의미와 시점에 대해서
* 영화의 주요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의 죽음을 둘러싼 당황스러운 상황들
* 영화의 주요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의 죽음을 둘러싼 당황스러운 상황들
최근 중년층 사이에서는 연명치료사전의향서 작성이 자주 화두가 된다. 이는 몸이 건강할 때 미리 연명의료에 대해 본인의 의견을 밝혀두는 것인데, 만약 내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가 된다면 그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명의료, 즉 ‘심폐소생술, 혈액 투석, 항암제 투여, 인공호흡기 착용 및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의학적 시술로서 치료 효과는 없이 임종 과정의 기간만을 연장하는 의료과정’을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 미리 본인의 의견을 정해두는 것이다.
이 연명의료와 관련해서는 먼저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2008년 76세의 김 할머니는 폐암 발병 여부를 확인하려 검사를 진행하던 중 갑자기 의식을 잃고 소위 ‘식물인간’ 상태에 이른다. 인공호흡기와 같은 생명 연장 장치에만 의존해 중환자실에 입원하게 된 할머니의 가족들은 평소 할머니의 뜻을 전하며 인공호흡기를 제거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병원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결국 소송에까지 이른다. 대법원은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사망단계에 진입하였고,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의 의사를 추정할 수 있는 경우라면 해당 환자에 대한 연명치료를 중단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이후 이러한 연명의료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2016년 2월에 <연명의료 결정법>이 제정되었으며 2018년부터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시행되었다.
필자의 아버지도 생전에 건강보험공단에 가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했었다. 아버지는 당신의 마지막 순간에 의미 없는 연명치료를 거부하고 싶어 하셨는데, 이러한 의사를 미리 밝혀두지 않으면 환자 당사자의 의사도 모른 채 연명치료 여부를 두고 가족들이 힘겨운 갈등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자식된 입장에서 부모의 명...
문화, 육아, 교육 분야의 잡지에서 기자로 일했다.
결혼 후 힘든 육아와 부모의 질병을 겪으며 돌봄과 나이듦에 관심 갖고 사회복지를 공부한다. 저서는 친정 엄마의 10년 투병에 관한 이야기이며 본명과 함께 다정한 나이듦을 뜻하는 '다나'를 필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죽음을 하늘의 뜻으로 받아들이고, 어떤 사람들은 인간의 의지와 선택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해요. 정답은 없다고 봅니다. 각자의 믿음과 가치관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봅니다.
어떤 사람들은 죽음을 하늘의 뜻으로 받아들이고, 어떤 사람들은 인간의 의지와 선택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해요. 정답은 없다고 봅니다. 각자의 믿음과 가치관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