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 많은 소녀>, 미지의 공포와 인간의 비합리성

서준수
서준수 · 꿈꾸는 현실주의자
2022/02/04
인간의 공포가 폭력으로 변하는 순간에 대하여

인간은 미지의 영역에 대해 두려움으로 반응한다. 미지에 대한 두려움은 불안과 공포로 다가온다. 여기서 그치지 않는 것에서부터 비극이 시작된다. 

인간은 자기를 합리화시키려고 한다.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 자신의 빈약한 지식과 세계관의 한계 속에서 나름의 논리를 펴서 미지의 영역을 지식의 영역으로 편입시킨다. 오해와 편견으로 둘러싸인 불확실한 정보를 여러 사람들이 수용하기 시작하면 그것이 마치 진리인 것 마냥 당연히 받아들여야하고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대상에게는 이단아로 낙인을 찍고 폭력까지도 행사한다. 간단히 말해서 인간은 무지라는 공포를 자신의 부정확한 지식으로 합리화시켜 그것을 다수의 생각이라는 힘으로 진실을 덮고 받아들이길 스스로에게, 타인에게 강요한다.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 등장하기 까지)

영화 <죄 많은 소녀>는 사람의 잘못된 믿음이나 편협성이 만들어내는 피의 비극을 보여준다.
한 여고에서 경민이란 아이가 실종, 자살하는 것에서부터 관련된 모든 사람들은 실종의 '합리적' 이유를 생산하는 논리를 찾기 시작한다. 여기에서 실종 전날까지 함께 있었던 영희가 유력한 범인으로 지목된다. 미궁의 사건에서 어떻게든 결론을 내야하는 형사는 전날 경민과 영희가 부적절한 행위를 했다는 CCTV의 일부 장면만으로 영희가 경민을 죽음으로 내몰았다는 '합리적 추론'을 한다. 

학생을 교육하고 보호해야 할 학교는 그야말로 마녀사냥의 온상지다. 학교가 가진 구조적인 문제로 몰리지 않도록 교장은 학생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Ph. D. in International Relations
51
팔로워 192
팔로잉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