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해 주신 것처럼 데이터와 정보들을 토대로 소개 드렸다면, 더 명확한 내용과 해석의 한계에 대해 전달 드릴 수 있었을 것 같아요.
기사 초반부에서도 소개되지만, 기사는 다음 논문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고 있어요. 본문에서 소개 드린 결과/해석들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이 계시다면 논문을 통해 상세 내용을 확인해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Bailey, Michael, et al. "Social connectedness: Measurement, determinants, and effect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32.3 (2018): 259-80.
(https://www.aeaweb.org/articles?id=10.1257/jep.32.3.259)
다만, 저자들도 논문에서 미리 밝히듯, 이 연구는 인과성 자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는 아니며, 다만 사회적 연결성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추후 연구들이 사회적 연결성을 고려할 근거와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로써 가치를 갖습니다.
따라서, 특정 해석 그 자체보다도, 페이스북 친구 관계라는 어떻게 보면 거친 데이터를 통해서도 행정구역 전반의 특징들과 관련된 흥미로운 분석/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이며, 향후 연구들에게 사회적 연결을 고려할 것을 독려하는 성격의 연구로 이해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기사를 들고 온 이유는 직접 마우스로 클릭/스크롤을 해보며 데이터를 인터랙티브하게 체험하는 재미를 공유하고 싶어서였어요. 잘 모르는 미국인데도 1시간 가량을 구글 지도와 같이 보면서 놀았더라구요ㅎㅎ 만약 한국 데이터였다면 엄청나게 흥미롭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구요!
(그런데 유료 구독 서비스라서 맛보기로 몇 회만 볼 수 있다는 한계가..ㅠㅠ)
말씀해 주신 것처럼 데이터와 정보들을 토대로 소개 드렸다면, 더 명확한 내용과 해석의 한계에 대해 전달 드릴 수 있었을 것 같아요.
기사 초반부에서도 소개되지만, 기사는 다음 논문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고 있어요. 본문에서 소개 드린 결과/해석들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이 계시다면 논문을 통해 상세 내용을 확인해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Bailey, Michael, et al. "Social connectedness: Measurement, determinants, and effect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32.3 (2018): 259-80.
(https://www.aeaweb.org/articles?id=10.1257/jep.32.3.259)
다만, 저자들도 논문에서 미리 밝히듯, 이 연구는 인과성 자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는 아니며, 다만 사회적 연결성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추후 연구들이 사회적 연결성을 고려할 근거와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로써 가치를 갖습니다.
따라서, 특정 해석 그 자체보다도, 페이스북 친구 관계라는 어떻게 보면 거친 데이터를 통해서도 행정구역 전반의 특징들과 관련된 흥미로운 분석/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이며, 향후 연구들에게 사회적 연결을 고려할 것을 독려하는 성격의 연구로 이해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기사를 들고 온 이유는 직접 마우스로 클릭/스크롤을 해보며 데이터를 인터랙티브하게 체험하는 재미를 공유하고 싶어서였어요. 잘 모르는 미국인데도 1시간 가량을 구글 지도와 같이 보면서 놀았더라구요ㅎㅎ 만약 한국 데이터였다면 엄청나게 흥미롭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구요!
(그런데 유료 구독 서비스라서 맛보기로 몇 회만 볼 수 있다는 한계가..ㅠㅠ)
답글 감사합니다!
말씀해 주신 것처럼 데이터와 정보들을 토대로 소개 드렸다면, 더 명확한 내용과 해석의 한계에 대해 전달 드릴 수 있었을 것 같아요.
기사 초반부에서도 소개되지만, 기사는 다음 논문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고 있어요. 본문에서 소개 드린 결과/해석들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이 계시다면 논문을 통해 상세 내용을 확인해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Bailey, Michael, et al. "Social connectedness: Measurement, determinants, and effect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32.3 (2018): 259-80.
(https://www.aeaweb.org/articles?id=10.1257/jep.32.3.259)
다만, 저자들도 논문에서 미리 밝히듯, 이 연구는 인과성 자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는 아니며, 다만 사회적 연결성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추후 연구들이 사회적 연결성을 고려할 근거와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로써 가치를 갖습니다.
따라서, 특정 해석 그 자체보다도, 페이스북 친구 관계라는 어떻게 보면 거친 데이터를 통해서도 행정구역 전반의 특징들과 관련된 흥미로운 분석/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이며, 향후 연구들에게 사회적 연결을 고려할 것을 독려하는 성격의 연구로 이해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기사를 들고 온 이유는 직접 마우스로 클릭/스크롤을 해보며 데이터를 인터랙티브하게 체험하는 재미를 공유하고 싶어서였어요. 잘 모르는 미국인데도 1시간 가량을 구글 지도와 같이 보면서 놀았더라구요ㅎㅎ 만약 한국 데이터였다면 엄청나게 흥미롭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구요!
(그런데 유료 구독 서비스라서 맛보기로 몇 회만 볼 수 있다는 한계가..ㅠㅠ)
답글 감사합니다!
말씀해 주신 것처럼 데이터와 정보들을 토대로 소개 드렸다면, 더 명확한 내용과 해석의 한계에 대해 전달 드릴 수 있었을 것 같아요.
기사 초반부에서도 소개되지만, 기사는 다음 논문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고 있어요. 본문에서 소개 드린 결과/해석들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이 계시다면 논문을 통해 상세 내용을 확인해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Bailey, Michael, et al. "Social connectedness: Measurement, determinants, and effect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32.3 (2018): 259-80.
(https://www.aeaweb.org/articles?id=10.1257/jep.32.3.259)
다만, 저자들도 논문에서 미리 밝히듯, 이 연구는 인과성 자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는 아니며, 다만 사회적 연결성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추후 연구들이 사회적 연결성을 고려할 근거와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로써 가치를 갖습니다.
따라서, 특정 해석 그 자체보다도, 페이스북 친구 관계라는 어떻게 보면 거친 데이터를 통해서도 행정구역 전반의 특징들과 관련된 흥미로운 분석/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이며, 향후 연구들에게 사회적 연결을 고려할 것을 독려하는 성격의 연구로 이해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기사를 들고 온 이유는 직접 마우스로 클릭/스크롤을 해보며 데이터를 인터랙티브하게 체험하는 재미를 공유하고 싶어서였어요. 잘 모르는 미국인데도 1시간 가량을 구글 지도와 같이 보면서 놀았더라구요ㅎㅎ 만약 한국 데이터였다면 엄청나게 흥미롭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구요!
(그런데 유료 구독 서비스라서 맛보기로 몇 회만 볼 수 있다는 한계가..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