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08
아주 공들인 통계와 분석이었습니다.
생각할거리가 많고 허점이라고 비판받을 부분도 보일만한데, 단점보다 장점위주로 보도록 하는게 좋겠죠.
저는 ‘이대남 현상’ 상층이 주도 하층이 시큰둥 표에 눈이 갔습니다.
상중하 계층으로 나눴을 때 각각의 사안에 대해서 하층 청년은 매우 일관된 30-40%정도의 반응을 보였는데 (모든 사안에 동일하고 균질한 분포의 대답), 중층 청년의 의견이 상층과 하층에 동의하는 비율을 보면 사안에 따라 갈리는 패턴이 보였어요.
중층 청년이 상층과 의견을 공유하는 질문은 : 좋은 대학 졸업, 정규직이 더 많은 월급 받아야, 능력있는 사람이 성공하는 세상이 공정하다
중층 청년이 하층과 의견을 공유하는 질문은: 능력은 시험성적으로 보면 알 수 있다, 공공기관 저소득층 채용할당제에 대한 ...
고맙습니다. 중층 청년이 어느 방향으로 향하는가는 아주 중요한 주제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이 글과는 주제가 다르지만, 불평등이나 사회복지 연구에서도 상하층 차이는 상수로 두고, 중간층의 향방을 핵심 변수로 분석하는 논의가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상층과 하층의 차이를 보여주는데 집중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일단 '이대남 현상'에 계층격차가 크다는 합의 자체가 우리 사회에 존재하지 않는데, 지금 단계에서 중간층 분석은 너무 나간 논의가 될 것 같았습니다.
고맙습니다. 중층 청년이 어느 방향으로 향하는가는 아주 중요한 주제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이 글과는 주제가 다르지만, 불평등이나 사회복지 연구에서도 상하층 차이는 상수로 두고, 중간층의 향방을 핵심 변수로 분석하는 논의가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상층과 하층의 차이를 보여주는데 집중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일단 '이대남 현상'에 계층격차가 크다는 합의 자체가 우리 사회에 존재하지 않는데, 지금 단계에서 중간층 분석은 너무 나간 논의가 될 것 같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