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인간-기계'의 윤리, 식민지 테크노크라트의 본성 - 김남천, <길 위에서>
2024/01/09
만들어진 '인간-기계'의 윤리, 식민지 테크노크라트의 본성 - 김남천, <길 위에서>
<길 위에서>는 춘천에서 경성으로 돌아오는 중에 “뻐스가 빵꾸”가 나 발길이 묶인 ‘나(박영찬)’가 ‘K’ 기사를 만나는 것으로부터 내용이 시작된다. ‘K’ 기사의 종형과 “막역한 친구”였던 ‘나’는 ‘K’ 기사의 호의덕분에 대성리의 토목공사장에서 하룻밤을 묵고 경성으로 떠난다. 그 사이 ‘나’는 ‘K’ 기사가 “자라”를 만지작거리며 노는 취미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나’는 ‘K’ 기사는 하루 동안 몇몇 이야기를 나누다 사회주의자였던, ‘K’ 기사의 죽은 종형을 떠올리기도 한다. 결국 ‘나’는 ‘K’ 기사에게 “자라”를 몇 마리 얻어 들고 배웅하는 길에 우연히 만나게 된 ‘길녀’와 함께 “만원 뻐스”를 타고 경성으로 돌아가게 된다.
특이한 점은 위와 같은 스토리와는 달리 작품은 ① 서울로 떠나는 장면이 먼저 제시되고 ② ‘K’ 기사와 ‘나’가 하룻밤을 함께 보내는 내용이 나오고 ③ 다시 서울로 떠나는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소설은 서울로 떠나며 ‘나’가 ‘K’ 기사와 겪었던 일들을 상기하고 깨닫는 내용이 핵심인 셈이다. ‘K’ 기사와 하룻밤 동안 나누었던 몇 토막의 대화는 마지막에 자라가 담겨있던 “깨어진 유리 쪼박”을 더없이 무상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게된다.
그렇다면 이 소설에서 ‘K’ 기사에게 테크노크라트의 면모는 어디서 어떻게 발견되는가. 다음은 <길 위에서>의 몇 대목이다.
우리네가 사회운동에 물불을 가리지 못할 때 그는 중학교의 상급반으로 조용히 입학죽비에만 골돌해 있었다. 그의 종형이 세상을 떠났을 때 미아리묘지에서 보고는 지금이 처음인데, 동기가없고 친척이 많지않은 K 기사는 종형의 친구인 나를 여기서 만난것이 다시없이 반가웠는지도 알수없다.(231쪽)
K와 같은 청년은 연세로는 불과 사오년의 차...
@토마토 영혼을 잃은 테크노크라트가 효율성만을 강조하는 사회가 가장 위험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정치 문제는 테크노크라트가 가장 문제인듯.
@bookmaniac 네. 덕분에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원 제목이 ‘길 우에서’ 인데 현대어로 바꿀까말까 하다가 섞여버렸네요.
작가님 오타요 사진아래 글이랑 중간에 두곳정도 길 위에서를 낄, 우에서로 쓰셨어요 속닥속닥
깊이 있는 글 잘 읽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정치 문제는 테크노크라트가 가장 문제인듯.
작가님 오타요 사진아래 글이랑 중간에 두곳정도 길 위에서를 낄, 우에서로 쓰셨어요 속닥속닥
깊이 있는 글 잘 읽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