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인간-기계'의 윤리, 식민지 테크노크라트의 본성 - 김남천, <길 위에서>

강부원
강부원 인증된 계정 · 잡식성 인문학자
2024/01/09
김남천, <길 위에서>

만들어진 '인간-기계'의 윤리, 식민지 테크노크라트의 본성 - 김남천, <길 위에서>  

<길 위에서>는 춘천에서 경성으로 돌아오는 중에 “뻐스가 빵꾸”가 나 발길이 묶인 ‘나(박영찬)’가 ‘K’ 기사를 만나는 것으로부터 내용이 시작된다. ‘K’ 기사의 종형과 “막역한 친구”였던 ‘나’는 ‘K’ 기사의 호의덕분에 대성리의 토목공사장에서 하룻밤을 묵고 경성으로 떠난다. 그 사이 ‘나’는 ‘K’ 기사가 “자라”를 만지작거리며 노는 취미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나’는 ‘K’ 기사는 하루 동안 몇몇 이야기를 나누다 사회주의자였던, ‘K’ 기사의 죽은 종형을 떠올리기도 한다. 결국 ‘나’는 ‘K’ 기사에게 “자라”를 몇 마리 얻어 들고 배웅하는 길에 우연히 만나게 된 ‘길녀’와 함께 “만원 뻐스”를 타고 경성으로 돌아가게 된다. 

특이한 점은 위와 같은 스토리와는 달리 작품은 ① 서울로 떠나는 장면이 먼저 제시되고 ② ‘K’ 기사와 ‘나’가 하룻밤을 함께 보내는 내용이 나오고 ③ 다시 서울로 떠나는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소설은 서울로 떠나며 ‘나’가 ‘K’ 기사와 겪었던 일들을 상기하고 깨닫는 내용이 핵심인 셈이다. ‘K’ 기사와 하룻밤 동안 나누었던 몇 토막의 대화는 마지막에 자라가 담겨있던 “깨어진 유리 쪼박”을 더없이 무상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게된다. 

그렇다면 이 소설에서 ‘K’ 기사에게 테크노크라트의 면모는 어디서 어떻게 발견되는가. 다음은 <길 위에서>의 몇 대목이다. 
   
우리네가 사회운동에 물불을 가리지 못할 때 그는 중학교의 상급반으로 조용히 입학죽비에만 골돌해 있었다. 그의 종형이 세상을 떠났을 때 미아리묘지에서 보고는 지금이 처음인데, 동기가없고 친척이 많지않은 K 기사는 종형의 친구인 나를 여기서 만난것이 다시없이 반가웠는지도 알수없다.(231쪽) 

K와 같은 청년은 연세로는 불과 사오년의 차...
강부원
강부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옛날 신문과 오래된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입니다.학교와 광장을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을 만나오고 있습니다.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고 싶습니다.
172
팔로워 2.2K
팔로잉 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