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는 문명적인가 비문명적인가

박순우(박현안)
박순우(박현안) · 쓰는 사람
2022/04/14
문명과 비문명을 생각한다. 문명의 반대말은 비문명이다. 비문명의 동의어는 무엇일까. 미개가 될 수도 있고 야만이 될 수도 있다. 같은 단어라도 비문명은 신사적인 것 같지만, 동의어인 미개와 야만으로 넘어가면 비문명은 더 이상 신사적인 표현이 아니다. 그야말로 글자 뜻대로 미개하고 야만적인 언어가 된다.

이준석 대표는 토론 내내 문명과 비문명을 언급했다. 휠체어 탑승 문제로 연착되는 건 문명이나, 바퀴를 일부러 승강장와 지하철 사이에 끼워 시위하는 건 비문명이라고 말했다. 박경석 전장연 대표는 답답하다는 듯 말했다. 그럼 지침을 달라. 어디까지가 문명이고 어디까지가 비문명인가.

우리는 분명 문명사회를 살아간다. 인간은 문명사회를 시작한 지 수천 년이 지났고 산업화까지 이루었으니 더는 문명사회가 아니라고 말하는 게 더 어려워 보인다. 문명의 사전적 의미는 사회의 여러 가지 기술적, 물질적인 측면의 발전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물을 뜻한다. 그런데 의문이 든다. 어디까지 발전해야 우리는 이 사회가 정말 문명화 되었다 말할 수 있을까. 발전의 범위는 누구를 기준으로 말해야 할까.

누군가에게 이 사회는 분명 문명화된, 충분히 발전된 세상일 것이다. 비장애인은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고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누릴 수 있으며 자유롭게 다닐 수 있다. 빈부격차를 차치하고라도 기본적인 사회를 격없이 누릴 수는 있다는 말이다. 여기서 비장애인은 건강한 성인을...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이것저것 씁니다. 『아직도 글쓰기를 망설이는 당신에게』를 펴냈습니다.
1.1K
팔로워 1.4K
팔로잉 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