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국내외 10대 기후·에너지 전망 (중)

이유진
이유진 인증된 계정 · 제한된 자원을 주의깊게 이용하는 것
2023/01/02
 
세계 경제가 대침체를 예고하는 가운데, 영국 기상청은 2023년 지구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2℃가 올라 가장 뜨거운 해가 될 것을 예고하고 있다.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긴박한 기후위기와 에너지 위기. 2023년 우리는 어떻게 전망하고 준비해야 할지 10가지로 정리해보았다. 


6) 강화하는 글로벌 기후공시 – ESG 공시 Big 3  

기후변화관련재무정보공개협의체(TCFD: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는 G20 산하 금융안정위원회에서 설립한 기구로, 기업의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시 기준을 만들어 제시하고 있다. 2022년 TCFD는 기업이 개선해야 할 영역으로 일관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과 보고체계를 꼽았다.¹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와 충격이 커지면서 TCFD 보고서를 작성하고 검증하는 일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시민이나 투자자들이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 역량과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정보를 정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인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2023년에는 기후정보공개 프레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지속해서 살펴봐야 한다.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은 기업지속가능성보고표준(ESRS: 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을 마련했고, ESRS는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 이하 ‘CSRD’)의 근간이 된다. 대기업은 2024년 1월 1일부터 ESRS와 CSRD를 준수해야 한다. CSRD는 더 많은 기업, 특히 상장 여부 관계없이 EU에서 활동하는 모든 대기업과 상장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CSRD는 2024년 초부터는 500인 이상 대기업을 대상으로 적용되며, 2025년부터는 250인 이상 또는 4000만 유로의 매출을 올린 기업, 2026년에는 중소기업에 적용될 예정이다.²

¹ 2022년 TCFD는 기업이 개선해야 할 영역으로 일관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과 보고체계를 꼽았다.
² 유럽 기업지속가능성보고표준 최종본 승인... 국내 중소기업에도 적용될 듯 2022.11.18. 
세계적으로는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에서, 미국에서는 SEC(증권거래위원회)에서 기업 경영에 따른 기후 재무정보 공시 표준을 만들어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ESG 공시 ‘빅 3’의 지침은 작성범위와 세부 사항이 다양해서 각각의 기준을 잘 살펴봐야 한다.¹ MSCI 분석에 따르면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이 만든 지속가능성보고 표준(ESRS)이 그림에서 보듯이 12개 항목 중에서 11개 항목을 보고하도록 하고 있어 가장 까다롭다. 기후공시에서 ‘빅 3’ 모두 감축 연도와 감축 목표와 방식(절대량 기준, 집약도 기준 등)을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세계 경제가 글로벌 공급망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기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시 제도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 지역에너지전환 전국네트워크 공동대표/ (전) 2050 탄소중립위원회 위원/ (전) 서울에너지공사 비상임이사/
5
팔로워 292
팔로잉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