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절하는 건물을 떠나보내는 방법
2023/08/27
서울 강남구 논현동 86-7번지 문영빌딩은 1988년에 태어났다. 학동역 사거리 한쪽 귀퉁이에서 뒷길로 접어 들어가면 나오는 건물이다. 주변 건물에 비해 가로로 긴 편이어서 존재감을 제법 내지만, 그밖에 이렇다 할 특징은 없다. 겉면에 두른 상아색 타일이나, 입구에 걸린 이름 '文永빌딩'의 한자와 영어독음 조합이 이 건물이 탄생한 시절을 짐작하게 한다.
양쪽 가장자리에 매달린 기다란 간판 거치대는 이 건물이 한때 밀도 높은 상가였다고 전한다. 간판은 경관을 망치는 주범이자 잔인한 경쟁 사회의 증거이지만, 동시에 도시의 정체성을 이룬 요소이자 활력의 상징이기도 하다. 거리에서 간판 없이 덩그러니 선 건물을 마주하면, 어딘가 이질적이면서 생기가 없다고 느낄 게 틀림없다. 경쟁력 없어 도태된 패배자 취급을 받을 것이다.
문영빌딩은 그런 건물이 될 수도 있었다. 하지만 현 소유주는 2021년 2월 재건축을 염두에 두고 문영빌딩을 사들였으면서도, 이 건물이 그렇게 맥없게 사라지는 모습은 보고 싶지 않았나 보다. 건물에 '2년'이란 시한을 주고, 그 시간을 기념하고자 한다. 임차인들이 떠난 건물의 간판을 모두 걷어내 문영빌딩의 원래 살갗을 드러내면서, 이 기념식의 이름 'EXP: 8 SEASONS'를 새겼다. 이른바 '유통기한(expiration date) 프로젝트'다...
양쪽 가장자리에 매달린 기다란 간판 거치대는 이 건물이 한때 밀도 높은 상가였다고 전한다. 간판은 경관을 망치는 주범이자 잔인한 경쟁 사회의 증거이지만, 동시에 도시의 정체성을 이룬 요소이자 활력의 상징이기도 하다. 거리에서 간판 없이 덩그러니 선 건물을 마주하면, 어딘가 이질적이면서 생기가 없다고 느낄 게 틀림없다. 경쟁력 없어 도태된 패배자 취급을 받을 것이다.
문영빌딩은 그런 건물이 될 수도 있었다. 하지만 현 소유주는 2021년 2월 재건축을 염두에 두고 문영빌딩을 사들였으면서도, 이 건물이 그렇게 맥없게 사라지는 모습은 보고 싶지 않았나 보다. 건물에 '2년'이란 시한을 주고, 그 시간을 기념하고자 한다. 임차인들이 떠난 건물의 간판을 모두 걷어내 문영빌딩의 원래 살갗을 드러내면서, 이 기념식의 이름 'EXP: 8 SEASONS'를 새겼다. 이른바 '유통기한(expiration date) 프로젝트'다...
대학에서 건축을 배우고 건축회사를 다니다 갑자기 기자가 되었습니다. 책 <못생긴 서울을 걷는다>(글항아리•2023)를 썼습니다.
@윤신영 용산전자상가도 오랫동안 재생할 방법을 논했었는데, 아마 최근에는 그냥 재개발로 가닥을 잡은 것 같죠? 원주 아카데미극장도 그렇고, 청주시청사도 그렇고, 흔히 말하는 '기억유산'을 관이 앞서서 없애자고 하는 사례가 요즘 눈에 자주 띄는 것 같습니다. 은평구 서울혁신파크(녹지와 건물이 혼합된 대학캠퍼스 같은 곳입니다.)는 서울시가 재개발을 추진하면서 구체적 계획이나 개발 사업자가 나오기도 전에 서둘러 비워 슬럼화를 자초하는 극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겠네요. 하나마나한 소리 같지만, 이런 사례들을 보면 그냥 '지역권력'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공공사업이야 말할 것도 없고, 민간사업이라면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해주길 바라는....!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Jerome 우리에게 주어진 현실적 조건에서 건물의 활용도를 조금 더 높일 방안, 그나마 공익을 생각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한다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흥미로운 글 잘 봤습니다. 도시가 지속된다는 게 결국 여기 저기가 갱신되는 과정일텐데, 그 중 하나인 건물의 떠남은 잘 보지 못했던 것 같네요. 덕분에 도시가 아주 새롭게 보일 것 같습니다.
약간 비슷한 생각을 한 경험이 있어요. 이전 직장이 서울 용산구 전자상가 일대에 있었는데, 예전에 청과물시장이던 곳이 산업이 바뀌면서 전자상가로 변했죠. 근데 지금은 전자상가로서의 기능도 잃고 슬럼화되고 있습니다. 지역 건물은 재개발을 기대한 자본이 산 지 오래됐고요. 그렇게 그 건물은(나름 서울의 산업사 귀퉁이를 간직하고 있음에도) 텅빈 채 방치되며 모욕적인 시간을 보내고 있었어요. 다른 마무리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 보기도 했지만, 따지고 보면 수많은 재개발지도 비슷한 시간을 거친 하구나 생각이 들더라고요.
글쎄요. '서로'는 누구일까요? 부동산 거래자 쌍방? 글에서도 쓰셨듯, 안정성은 문제가 없던 건물을 굳이 환경 파괴해서 부수고, 새 건물의 임대료는 더 올려받고 싶고, 그 중간에 SNS 명소로 유명세를 잇고 싶은 욕망 아닌가요? 매수매도의 주체가 자신들인데, '건물'이 '요절'이라도 한것처럼 '서사'를 만드는 능력은 인정할 수 있겠습니다. 결론적으로는 돈 많은 사람이 돈을 더 불리기 위한 스토리네요.
@Jerome 건물이나 토지가 있는 쪽이 어느 정도 '선의'를 갖고 일시적으로 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 쓴 겁니다. 그게 사회적 공헌으로 보일 수 있다는 거고요. 낭만... 이라고 하기엔 실용적이고 서로 윈윈하는 면이 분명히 있습니다.
흥미롭긴한데 돈많은 부동산 가진 분의 낭만인 것 같네요.
@Jerome 우리에게 주어진 현실적 조건에서 건물의 활용도를 조금 더 높일 방안, 그나마 공익을 생각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한다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erome 건물이나 토지가 있는 쪽이 어느 정도 '선의'를 갖고 일시적으로 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 쓴 겁니다. 그게 사회적 공헌으로 보일 수 있다는 거고요. 낭만... 이라고 하기엔 실용적이고 서로 윈윈하는 면이 분명히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