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3
김준일 대표님,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비교적 최근(1993년 중의원 총선거)까지 중선거구제(일본에서 중선거구제라 불러왔기에 아래에서도 중선거구제라 하겠습니다)였던 일본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논의해볼 포인트가 많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 '정치 개혁' 바람 속에 중선거구제가 '돈 선거, 이익 선거, 파벌 선거'의 적폐로 몰려 사라진 것을 생각하면 한 편으로는 아이러니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제가 아래에서 소개드리는 건 주로 일본 사례고, 아시다시피 현재 세계적으로 중선거구제를 도입한 나라가 많지 않다는 점을 우선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그런 면에서 몇 안 되는 일본의 경험을 되짚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물론, 한국과의 정치적 경험차(민주화)나 자민당 독주와 같은 문제점도 있으니 모두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점도 덧붙입니다.
1. 현행 대통령제에 대한 고민도 동시에 필요
비교적 최근(1993년 중의원 총선거)까지 중선거구제(일본에서 중선거구제라 불러왔기에 아래에서도 중선거구제라 하겠습니다)였던 일본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논의해볼 포인트가 많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 '정치 개혁' 바람 속에 중선거구제가 '돈 선거, 이익 선거, 파벌 선거'의 적폐로 몰려 사라진 것을 생각하면 한 편으로는 아이러니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제가 아래에서 소개드리는 건 주로 일본 사례고, 아시다시피 현재 세계적으로 중선거구제를 도입한 나라가 많지 않다는 점을 우선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그런 면에서 몇 안 되는 일본의 경험을 되짚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물론, 한국과의 정치적 경험차(민주화)나 자민당 독주와 같은 문제점도 있으니 모두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점도 덧붙입니다.
1. 현행 대통령제에 대한 고민도 동시에 필요
대표님께서 지적하셨듯이, 기본적으로 중선거구제는 비례성을 높여서 사표를 줄이는 효과를 갖습니다. 한 사람만 뽑히는 소선거구제 하에서는 당연히 상당히 많은 수의 '사표'가 발생합니다. 기본적으로 선거제도와 관련해서는 이 '사표'를 어떻게 받아들일지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사표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한 생각 차이는 나라별로 다르고, 한국에서는 주로 진보진영에서 사표에 대한 거부감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이 지점에서 중선거구제를 논의하기 위한 전제 조건을 먼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국회의원 선거제도와 함께 현행 대통령제의 문제점을 동시에 고민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표를 줄이는 방향의 제도 개혁(중대선거구제가 됐든, 비례대표제가 됐든)이 필요하다면, 적어도 지금과 같은 막대한 사표가 발생하는 대통령제를 내각제로 바꾸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의회의 권한을 훨씬 강화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지난번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면서, 이재명 후보에게 투표한 1600만여표는 모두 의미를 상실했습니다. 현재 돌아가는 정치상황은 '겨우 20만여표' ...
이 지점에서 중선거구제를 논의하기 위한 전제 조건을 먼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국회의원 선거제도와 함께 현행 대통령제의 문제점을 동시에 고민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표를 줄이는 방향의 제도 개혁(중대선거구제가 됐든, 비례대표제가 됐든)이 필요하다면, 적어도 지금과 같은 막대한 사표가 발생하는 대통령제를 내각제로 바꾸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의회의 권한을 훨씬 강화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지난번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면서, 이재명 후보에게 투표한 1600만여표는 모두 의미를 상실했습니다. 현재 돌아가는 정치상황은 '겨우 20만여표' ...
좋은 보완글 잘 읽었습니다. 의원내각제로 궁극적으로 향하려면, 이에 대한 교육과 홍보 역시 잘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대통령제에서 의원내각제로의 이행은 반드시 개헌을 거쳐야 하는데(물론 이 문제가 아니어도 개헌은 필요하겠지만), 국민 다수에게 너무 생소한 개념이거든요. 공식 교육과정에 설명이 되어 있지만, 따로 정치 관련 과목을 듣지 않았다면 이해가 어려워서 국민투표 자체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체제가 크게 바뀌는 만큼, 추진 시기에 여야 합의가 잘 이루어지는 정치 지형일지도 관건이겠네요.
저 역시 의원내각제가 궁극적으로는 더 좋다고 생각하는데, 당장 대통령 단임제 개혁을 위해서 중임제부터 먼저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는 합니다.
좋은 보완글 잘 읽었습니다. 의원내각제로 궁극적으로 향하려면, 이에 대한 교육과 홍보 역시 잘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대통령제에서 의원내각제로의 이행은 반드시 개헌을 거쳐야 하는데(물론 이 문제가 아니어도 개헌은 필요하겠지만), 국민 다수에게 너무 생소한 개념이거든요. 공식 교육과정에 설명이 되어 있지만, 따로 정치 관련 과목을 듣지 않았다면 이해가 어려워서 국민투표 자체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체제가 크게 바뀌는 만큼, 추진 시기에 여야 합의가 잘 이루어지는 정치 지형일지도 관건이겠네요.
저 역시 의원내각제가 궁극적으로는 더 좋다고 생각하는데, 당장 대통령 단임제 개혁을 위해서 중임제부터 먼저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