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사회계약'을 만들지 못하는 한국정치
2023/10/12
새로운 ‘사회계약’을 만들지 못하는 한국정치
-조귀동, <이탈리아로 가는 길>을 읽고서
“1987년 노동부는 ‘근로자 중산층화 기반 조성’ 계획을 작성한다. 여기서 노동부는 중산층을 “ 안정된 직장에 취업하여 적정한 소득과 저축을 보유” 한 집단, 10년 정도 일한 35세 전후면 20평 정도의 자가를 소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정의했다. 또 2명 정도 자녀에게 고교 수준의 교육을 시킬 정도가 되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P.264) (중략)
“1989년 한국갤럽 여론조사(20대-60대)에서는 한국인 75%가 “당신은 중산층입니까”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그런데 2022년 2월 <한국경제신문>이 실시한 설문조사 (30세-59세대상)에서는 해당 대답을 선택한 이가 53.7%에 불과했다. 2020년(57.5%) 보다도 3.7% 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45.6%는 하위층 이라고 답했다. 특히 30대는 55.6%가 자신을 하위층이라고 생각했다.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월평균소득은 686만원, 부동산을 포함한 자산 규모는 평균 9억 4,500만원이었다.” (P.269)
나는 ‘중산층’이라는 개념을 잊고 살다가, 이 책을 읽으면서 현재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중산층은 어떤 의미에 대한 생각이 많아졌다. 중산층은 누구인가? 나는 중산층일까?
1980년대 1990년대 ‘중산층이 잘 사는 나라’는 일종의 암묵적 사회계약, ‘약속’이었다. ‘당신도 열심히 일하면 중산층이 될 수 있어. 아파트도 장만하고, 자가용도 타고, 자식들을 대학에 보낼 수 있어’ 마치 기독교의 ...
정치적독서클럽 읽는사람들에서 읽는사람 규를 맡고 있습니다.
쌀전문편집숍 동네정미소를 운영하는 쌀집아저씨 입니다.
정치혁신 사회혁신을 위해 공부하고 실험하는 사회혁신해봄 협동조합 이사장도 맡고 있습니다.
박근혜 그만두유 제작 배포자 입니다.
문제의식에 공감합니다. 그런데, 새로운 사회계약을 만들어 내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전에, 새로운 사회계약을 만들기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할지 논의하고 도출하는 활동은 또 어떻게 해야할까요?
문제의식에 공감합니다. 그런데, 새로운 사회계약을 만들어 내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전에, 새로운 사회계약을 만들기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할지 논의하고 도출하는 활동은 또 어떻게 해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