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
몬스 ·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합니다.
2023/05/27
  • 링크의 방향에 따른 구분 (In-degree & Out-degree)

트위터에서 A라는 계정이 B라는 계정을 리트윗 하면 'A->B' 라는 관계가 생긴다. 이렇게 링크에 방향성이라는 속성이 있는 경우, 이 링크들로 구성한 네트워크의 경우 방향 그래프(directed graph)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방향 그래프에서 가장 먼저 살펴볼 수 있는 성질로는 in-degree와 out-degree가 있다. 네트워크에서 링크의 수를 degree라고 부르는데, in-degree, out-degree라고 하면 나에게 들어온 링크, 내가 건 링크의 수를 나타낸다. 트위터의 경우 in-degree는 내 트윗이 리트윗된 횟수, out-degree는 내가 다른 트윗을 리트윗한 횟수를 말한다.

트위터에서 In-degree가 높다는 건 그만큼 본인 계정의 트윗이 리트윗이 많이 된다는 걸 의미하는데, 이들 계정은 트위터 내에서 콘텐츠 생산을 책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Out-degree가 높다는 건 누군가가 생산한 트윗을 열심히 공유하는 계정으로, 확산 활동을 책임진다고 볼 수 있다.
트위터 계정별 in-degree & out-degree. in-degree를 생산, out-degree를 확산으로 보았을 때, 크게 3 종류의 성장패턴이 확인된다.
위의 그림은 '능욕'을 키워드로 한 트위터 상호작용 네트워크의 in-degree와 out-degree의 관계를 나타낸다. 어느정도 in-degree와 Out-degree가 성장한 계정들로부터 대략 3개의 클러스터를 구분해 볼 수 있는데, in-degree만 높은 '생산 계정', in-degree와 out-degree가 모두 높은 '생산 & 확산 계정', out-degree만 높은 '확산 계정'으로 구분해 보았다.
 
이 중 생산 & 확산 계정에서는 in-degree, out-degree 사이에 선형 상관관계가 보이는데, 이 계정들의 경우 자기 자신의 트윗을 리트윗...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복잡계 과학에 관심이 많고, 그 중 주로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덕질 하고 있습니다.
654
팔로워 1.2K
팔로잉 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