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제와 포섭의 기준으로 작용한 식민지 무속담론
2023/12/24
배제와 포섭의 기준으로 작용한 식민지 무속담론 - 김동리의 문학작품을 통해서
김동리 무속 소설에 형상화된 조선 무속은 “농촌성”, “여성성”, “원시성”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정형화된 특징은 김동리 문학관이 지닌 근본적인 지향성, 즉 <죽음에의 극복>의식과 연결되어 설명할 수 있다. 왜냐하면 <죽음(소멸)에의 극복> 의식은 흔히 자연으로의 회귀양상, 혹은 풍요로운 생산을 의미하는 원형적인 모성으로 이미지화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김동리 소설에 형상화된 조선의 무속의 특징이 일본의 무속담론과 내용상 일치한다는 점이다. 그 예로, 대표적인 일본 무속 연구가 아끼바는 조선 무속의 특징으로 “농촌성”, “여성성․모성성”, “원시성”을 제시하는데, 이는 조선 문화의 열등성을 해명하는 논리로서 비약되고, 일제의 식민정책을 합리화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는 ‘조선 무속의 농촌성’을 ‘조선 사회의 농촌성’으로, ‘여성성’을 ‘조선사회의 수동성’으로, ‘원시성’을 조선의 ‘미분화된 원시적 종교’ 의식으로 비약, 확대한다. 이러한 논리에 의해서, 그는 조선 사회가 근본적으로 후진적이며, 문화가 정체되어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이는 일제의 식민 무속담론이 식민통치 전략에 활용되는 전형적인 방식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김동리와 아끼바가 정형화한 조선 무속의 특징들은 각기 다른 목적과 다른 방식으로 생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상 서로 교묘하게 겹쳐져 있다. 이 교묘하게 겹쳐진 자리가 갖는 상호 작용성, 양가성이 식민 무속 담론과 김동리 문학이 갖는 변증...
@연하일휘 조선의 무속도 일제에겐 희석시켜야 할 구체제의 풍습이었을겝니다. 근대로의 전환이라는 과제를 수행하며 알맞춤하게 타게팅해 소거하기에도 적당한 대상이었을 거구요. 연하일휘 님 행복하고 평화로운 크리스마스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홍지현 한때 한국의 토속적 정신세계를 중요한 모티프로 작품을 써온 작가들이 있었는데, 지금은 또 잘 안보입니다. 지금은 SF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작품이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시대와 상황에 맞는 분위기에 따른 것이겠지요. 무속이 그 상상력의 결합으로 들어갈 듯도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크리스마스 되세요.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살펴보다보면, 절로 한숨이 새어나오곤 합니다. 식민지 무속담론에 대해서는 깊이 살펴본 적이 없었는데, 칭징저님 덕분에 새로이 알아갑니다. 무속에 관심이 많아 김동리 소설을 좋아하는 편인데....여러 생각들에 잠기게 되네요.
늘 멋진 글을 감사히 읽어갑니다. 행복한 크리스마스 보내시기를 바라요.
거리가 있는 이야기인데 한국에 터주신, 조왕싱, 측신처럼 핀란드엔 집 요정, 싸우나 요정같은 민간 신앙이 있습니다. 사람들 상상력이 거기서 거기라 여겨지는데, 굳이 뛰어나다고 우기는 게 오히려 못났다고 하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거리가 있는 이야기인데 한국에 터주신, 조왕싱, 측신처럼 핀란드엔 집 요정, 싸우나 요정같은 민간 신앙이 있습니다. 사람들 상상력이 거기서 거기라 여겨지는데, 굳이 뛰어나다고 우기는 게 오히려 못났다고 하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홍지현 한때 한국의 토속적 정신세계를 중요한 모티프로 작품을 써온 작가들이 있었는데, 지금은 또 잘 안보입니다. 지금은 SF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작품이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시대와 상황에 맞는 분위기에 따른 것이겠지요. 무속이 그 상상력의 결합으로 들어갈 듯도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크리스마스 되세요.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살펴보다보면, 절로 한숨이 새어나오곤 합니다. 식민지 무속담론에 대해서는 깊이 살펴본 적이 없었는데, 칭징저님 덕분에 새로이 알아갑니다. 무속에 관심이 많아 김동리 소설을 좋아하는 편인데....여러 생각들에 잠기게 되네요.
늘 멋진 글을 감사히 읽어갑니다. 행복한 크리스마스 보내시기를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