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상사) 14. 묵자(3) - 묵자의 경제적 주장: 절용, 절장, 비악

이선우
이선우 · 인.생.이.모.작.@->---
2022/12/19
이미지 출처: 본인이 만듦
묵자가 ‘사랑’을 ‘이롭게 하는 것’으로 주장한 만큼 천하만민의 실질적인 리(利)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래서 묵자는 절용(節用), 즉 ‘재화를 아껴 쓸 것’을 주장했습니다. 춘추전국시대의 농업 생산력이 과거에 비해 진일보했다고 하지만 지금과 같이 단기적으로 생산력을 상승시킬 방법이 없었으므로 자연히 재화의 절약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성인이 한 나라의 정치를 하면 한 나라의 부가 배로 늘어날 수 있다. 그것을 확대하여 천하의 정치를 하면 천하의 부가 배로 늘어날 수 있다. 배로 늘리는 방법은 바깥의 땅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그 국가 안에서 쓸모없는 비용을 없애면 족히 배가 될 수 있다. 성왕이 정치를 하매 그 영을 내리고 사업을 벌이면서 백성을 부리고 재화를 쓰지만 남보다 더 많은 재화를 써서 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재화의 쓰임에 낭비가 없고 백성의 소득이 수고로워지지 않으며 이익의 흥륭함이 많아지는 것이다.
聖人爲政一國, 一國可倍也, 大之爲政天下, 天下可倍也. 其倍之, 非外取地也, 因其國家, 去其無用之費, 足以倍之. 聖王爲政, 其發令興事, 使民用財也, 無不加用而爲者, 是故用財不費, 民德不勞, 其興利多矣. (『묵자』「절용」상 中)
 
묵자는 재화의 절약을 중시한 만큼 노동력노동을 중요시하게 생각했습니다. 묵자는 인간을 노동하는 존재로 생각했고, 사회적 분업을 당연하게 생각했습니다.
 
지금 사람들은 진실로 금수, 고라니, 사슴, 나는 새나 파충류와는 다르다. 지금 금수, 고라니, 사슴, 나는 새와 파충류는 그 깃과 털로 의복을 삼고, 발굽과 발톱으로 바지와 신발을 삼으며, 물과 풀로 음식을 삼는다. 고로 수컷들은 농사짓고 나무를 가꿀 필요가 없고, 암컷들도 길쌈을 할 필요가 없으니, 의식 재화가 진실로 이미 갖추어져 있다고 하겠다. 사람들은 이와 달라서 그 힘에 의지하면(노동을 하면) 살고 그 힘에 의지 하지 않...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사상사(중국철학) 석사. 박사 준비중. 다각도로 광범위로.
58
팔로워 119
팔로잉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