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함께 하는 서촌기행

칭징저
칭징저 · 서평가, 책 읽는 사람
2023/06/24
 
서촌의 골목길(서울시 공식관광사이트)
“그의 주소가 주전자 속에서 끓고 있다/ 그의 고향이 탁탁 소리를 내며 불탄다/한 모금 넘긴 술, 반은 눈으로 올라오고/ 반은 심장을 친다...” - 장석남,  「난롯가」 중에서

과연 우리의 주소지를 어떻게 말할 수 있을 것이고 또 우리가 태어나 자란 이른바 고향이라는 장소를 행정적 기호 아닌 언어로 어떻게 말해야 할까? 고향을 그리움이라는 관념 속에, 주소지를 삶의 고통 혹은 행복이라는 허풍의 단어 속에 수렴하여 말하면 그만이지만 문학은 그곳을, 그 시간과 장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삶의 실감 안에서 들여다보고 그 자세한 풍경과 향기의 의미를 찾아보라고 요구한다. 

일생의 대부분을 종로나 명동에서 지냈을 시인 김종삼은 「나의 本籍」이란 시에 “나의 本籍은 늦가을 햇볕 쪼이는 마른 잎이다. 밟으면 깨어지는 소리가 난다”고 제시한다. 저 50년대의 신산한 시간을 살아온 시인의 주소지란 혹은 본적지란 우리가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그것이어서는 안 되었으리라. 아니 그것을 관청에서 부여해준 기호로 말할 수는 없었으리라. 청계 천변의 풍경을 하나 그는 다음처럼 제시하고 있다. 그의 거주지의 풍경인 셈이다. 

조선총독부가 있을 때
청계川邊 一0錢均一床 밥집 문턱엔
거지 소녀가 거지장님 어버이를 
이끌고 와 서 있었다
주인 영감이 소리를 질렀으나
태연하였다
어린 소녀는 어버이의 생일이라고
一0錢짜리 두 개를 보였다.
 - 김종삼, 「掌篇 2」, 전문
   
제것은 없는 어버이의 생일 밥상을 마련한 어린 거지 소녀가 있던 그 신산한 시대를 우리는 지금 실감할 수 없다. 다만 문학 작품 속에서 더듬어 짐작해볼 뿐이다. 저 찬란하고도 허구적인, 애써 감추고 싶은 것을 서둘러 감춘 듯한 표정의 청계천변을 지날 때마다 나는 어김없이 이 작품이 생각난다. 이 작품의 숨은 화자가 되어 나도 몰래 눈을 들어 경복궁이 있는 쪽을 바라보게 된다.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이정민, 책을 읽고 글을 씁니다.
276
팔로워 555
팔로잉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