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9
우선 토론을 좋아하는 저로선 두 분이 맞부딪히는 모습이 반갑습니다. 이제 박 스테파노님이 써 주신 글에 대해서 남궁민 님이 다음 글을 써 주실까요? (흥미진진)
고래들이 싸우고 있는데 새우 등을 터뜨리려고 일부러 애쓸 사람은 없지 않겠어 하는 심정으로 저의 비전문가적인 의문과 의견을 보태 보려고 합니다.
일단, 도대체 논쟁의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가 이해해 보려고 합니다.
남궁민 님께서는 서두에 글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써 주셨습니다.
고래들이 싸우고 있는데 새우 등을 터뜨리려고 일부러 애쓸 사람은 없지 않겠어 하는 심정으로 저의 비전문가적인 의문과 의견을 보태 보려고 합니다.
일단, 도대체 논쟁의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가 이해해 보려고 합니다.
남궁민 님께서는 서두에 글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써 주셨습니다.
이 주장의 핵심은 '플랫폼의 독점'을 그 자체로 해악으로 보는 데 대한 반론입니다.
그런데 박 스테파노 님은 이렇게 얘기하고 계십니다.
플랫폼의 존재 자체가 해악이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없다.
이것 참, 처음부터 혼란스럽습니다. 도대체 논쟁의 주제가 되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요?
제가 정리해 보자면 두 분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안에 동의를 해 주실 것 같습니다.
1. 플랫폼은 이용자들에게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존재 의의를 갖는다.
2. 하지만 플랫폼이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면 다른 독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회에 손실을 끼칠 수 있다.
3. 그렇기 때문에 플랫폼이 이용자에게 주는 효용과 지속적인 혁신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또는 저해를 최소화하면서) 플랫폼의 독점을 규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두 분이 의견을 달리 하시는 부분이 어딘지 저로선 좀 생각을 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 2번 뒤에 다음과 같은 명제를 넣어 보면 어떨까요?
2-1. 플랫폼의 독점에는 해악만 있는 것이 아니라 좋은 점도 있다.
남궁민 님께선 이 명제를 긍정하는 것이고, 박 스테파노 님은 그런 좋은 점이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독점의 폐해가 훨씬 더 크다고 말씀하시는 것일까요?
2-1.번 명제가 남궁민 님께서 긍정하시는 것이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글을 읽어보니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습니다.
플랫폼이 독점이 되는 건 해당 기업이 시장 지배의 음모를 꾸미는 악의에서 나온 게 아니라 그게 더 효율적인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궁금하고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주제에 대해 배우고자 노력하고, 깨달아지는 것이 있으면 공유하고 공감을 구하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글 내용이 저한테 좀 어려울 때가 있긴 하지만, 박 스테파노 님 글이 눈에 띄면 이해하려고 애쓰면서 읽어 보고 있습니다. 제가 꾸준히 찾아 읽는 소수의 분들 중 한 분이세요. 제 의견도 참고 용도로 드렸다고 생각해 주시고 제가 오해했거나 잘못 말씀드린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많이 불쾌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네... 보다 적확한 표현을 위해 애써 볼께요.
그러나 그안의 함의도 헤아려 주시길 부탁드려 봅니다.
이 또한 작은 토론이겠지요. 글이 이렇게 어렵네요.
혹 얹짢게 쏘아 붙인 것이 있다면 양해해 주시길.
박 스테파노 님. 토론을 보는 사람 입장에서 당사자 분들이 근거로 제시하는 내용들은 맞는 것 같다, 아니다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박 스테파노 님께서 글 뒷부분에 덧붙이신 내용들은 그런 판단에 도움이 되지 않는 사족이면서 독선적인 느낌을 줘서 당사자가 주장한 다른 내용들의 설득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토론 상대방의 입장 역시 비슷할 것 같습니다.
이해가 안된다고 하시길래 설명드린 것이고, 동의가 안되시거나 여전히 이해가 안되신다면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연말 잘 보내시고 다른 글들로 계속 뵙겠습니다.
토론 당사자가 아닌 제3자가 판단한다고요?
그 근거가 무엇인지 궁금하지만, 이만 하겠습니다.
무슨 이야기인지 저는 이해되지 않습니다.
의미 없는 이야기가 계속될 것 같네요. 연말 잘 보내시고.
이쯤 하겠습니다.
저는 의미없는 훈수로 들렸습니다.
제 몫입니다.
박 스테파노 님. 근거가 제시되었는지 아닌지는 제3자가 판단할 일이지 토론 당사자가 단정지을 일은 아닙니다. 단정짓지 말라는 법은 없지만 단정하는 태도는 제3자가 보기에 설득력을 낮추지요.
저도 의견이니 참고 여부는 박 스테파노 님의 몫입니다.
훈계한 적 없습니다. 받아 들이는 사람의 몫이지요.
제 경험과 지식과 판단으로 잘못 된 것을 잘못이라 이야기하는 것은 훈계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에는 "근거"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고준 담론의 세평을 나수는 자리가 아닙니다. 그것이 불편하다면 더 정확한 근거로 반론하면 됩니다.
경험치를 이야기하는 것이 잘못이라면, 세상의 모든 유경험자는 입을 다물어야 한다는 것인지요? 아니겠지요. 그것이 거슬린다면, 누구의 탓이 될까요. 무엇이든 나이 든 사람이 지작하는 것을 "훈계"라 매도하는 것은 불꽤합니다. 제가 2030의 경험으로 같은 이야기를 했다면 그것도 훈계가 되나요?
제 이야기가 무엇이 모순이고 잘못되었는지 정확히 지적해 주세요. 읽어 내리는 기분을 이야기하는 것 말고요.
가설의 결론에 집중하다 보면, 주장이 어지러워 집니다.
그 가설을 고집하지 않는 것도 용기라는 제 스승의 가르침을 나누어 보았습니다.
서툰댄서 님의 마지막 부분은 충고입니까? 훈계 입니까?
저는 그저 의견으로 받아 들입니다.
누가 채점을 하고 있는지는 나름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훈계한 적 없습니다. 받아 들이는 사람의 몫이지요.
제 경험과 지식과 판단으로 잘못 된 것을 잘못이라 이야기하는 것은 훈계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에는 "근거"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고준 담론의 세평을 나수는 자리가 아닙니다. 그것이 불편하다면 더 정확한 근거로 반론하면 됩니다.
경험치를 이야기하는 것이 잘못이라면, 세상의 모든 유경험자는 입을 다물어야 한다는 것인지요? 아니겠지요. 그것이 거슬린다면, 누구의 탓이 될까요. 무엇이든 나이 든 사람이 지작하는 것을 "훈계"라 매도하는 것은 불꽤합니다. 제가 2030의 경험으로 같은 이야기를 했다면 그것도 훈계가 되나요?
제 이야기가 무엇이 모순이고 잘못되었는지 정확히 지적해 주세요. 읽어 내리는 기분을 이야기하는 것 말고요.
가설의 결론에 집중하다 보면, 주장이 어지러워 집니다.
그 가설을 고집하지 않는 것도 용기라는 제 스승의 가르침을 나누어 보았습니다.
서툰댄서 님의 마지막 부분은 충고입니까? 훈계 입니까?
저는 그저 의견으로 받아 들입니다.
누가 채점을 하고 있는지는 나름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글 내용이 저한테 좀 어려울 때가 있긴 하지만, 박 스테파노 님 글이 눈에 띄면 이해하려고 애쓰면서 읽어 보고 있습니다. 제가 꾸준히 찾아 읽는 소수의 분들 중 한 분이세요. 제 의견도 참고 용도로 드렸다고 생각해 주시고 제가 오해했거나 잘못 말씀드린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많이 불쾌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네... 보다 적확한 표현을 위해 애써 볼께요.
그러나 그안의 함의도 헤아려 주시길 부탁드려 봅니다.
이 또한 작은 토론이겠지요. 글이 이렇게 어렵네요.
혹 얹짢게 쏘아 붙인 것이 있다면 양해해 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