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12
이름에 걸맞게 미국의 혁신기업들을 위한 은행으로 잘 나갔던 실리콘밸리은행(SVB)가 갑작스럽게 파산했다. 미국 은행 파산의 역사에서 규모로 2위에 해당할 뿐 아니라, 미국 혁신의 상징인 실리콘밸리의 한복판에 있던 금융기관이라 이 사건에 관한 보도와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 이 중에 이번 사태를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만한 몇 가지 보도와 정보들을 정리했다.
파산의 시작은 실리콘밸리 거물의 손절
SVB는 지난 8일 보유 자산 매각으로 18억 달러 규모의 손실을 봤고, 자본을 확충하기 위해 증자를 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발표로 불안해진 SVB의 기업 고객들이 대거 예금을 인출하면서 이틀 만에 파산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틀간 예치된 예금의 25% 가량이 인출됐다고 한다. 전형적인 뱅크런(은행 인출쇄도)의 모습이다.
그런데 이 뱅크런의 시작이 실리콘밸리의 최고 거물 투자자 중 하나인 피터 틸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피터 틸은 실리콘밸리의 레전드인 페이팔 창업자 그룹(페이팔 마피아라고 불리는 그 그룹)의 일원으로 원래 부자였지만 페이스북 초기 투자로 엄청난 부를 쌓은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틸이 만든 벤처 투자펀드 파운더스펀드는 SVB에 요청한 송금 서비스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자 파산 하루 전인 9일 기준으로 모든 예금을 인출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펀드에서 투자한 기업들에게도 SVB에서 돈을 빼...
그런데 이 뱅크런의 시작이 실리콘밸리의 최고 거물 투자자 중 하나인 피터 틸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피터 틸은 실리콘밸리의 레전드인 페이팔 창업자 그룹(페이팔 마피아라고 불리는 그 그룹)의 일원으로 원래 부자였지만 페이스북 초기 투자로 엄청난 부를 쌓은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틸이 만든 벤처 투자펀드 파운더스펀드는 SVB에 요청한 송금 서비스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자 파산 하루 전인 9일 기준으로 모든 예금을 인출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펀드에서 투자한 기업들에게도 SVB에서 돈을 빼...
@권승준
네네.. 맞습니다.. 지적 하신 부분 동감하구요..제가 사실 정확한 분석은 하지 않았고. 이래저래 전문가 및 증권 방송 참고 하고 적었는데.. 저도 쓰다 보니 단어 하나하나에 신경을 못 썼는데요.. 하나씩 또 적으면 이게 또 논쟁이 되니..ㅋ
여하튼 제 의도는 승준님의 본글에.. SVB 구제 정책이 부자에게 더 유리하도록 구제를 했다..이런 논지에는 벗어나자는 추지이구요. 그리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제가 은행의 이익 구조를 부가적으로 설명한 것 뿐입니다.
사실은 내부자 아니면 이 사건의 정확한 흐름은 알 수가 없죠..기사가 정확하다는 증거도 없죠.. 그래서 저도 저도 100% 맞지 않다고 말씀드렸구요..
하지만 저는 아직도 그렇게 생각 합니다.. 저만의 생각일 수도 있는데요... 미국 현지 은행이 금리인상 시기를 대충이라도..적어도 우리보다 먼저 알았으면 알았지..뒤 늦게 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제가 작년 3월 금리인상 전에 미리 주식을 상당 부분 뺏거든요..타지에 있는 저같은 개미 투자자도 이렇게 대충이라도 행동하는데..실리콘 밸리 본사를 둔 은행이 전혀 모른다는 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구요.
제 생각엔 만약 미리 알았어도 이 정도 파산 될 정도로 심각하게 생각을 안 했거나...아니면 알았어도 대응을 잘 못한 것은 확실히 은행 잘못은 맞다는 데에는 동의 합니다.
사실 이것도 정답은 없죠. 생각의 차이일 뿐^^
@백지우 자주 댓글 남겨주시는거 잘 읽고 있었습니다. 이번에 달아주신 글에 몇 가지 부정확한 부분이 있어서 코멘트 드려봅니다.
"수익의 주 원인인 기업의 대출도 당연히 줄고"
-->SVB 자산 비중을 보면 대출보단 장기채권 투자 비중이 훨씬 컸고 아마 이익이나 현금흐름도 채권 투자에서 더 많이 나왔을 겁니다. SVB 수익의 주 원인이 기업 대출이라는 건 부정확한 표현입니다.
"이런 것이 지속되다보니 파산에 이르게 된 것"
--> 정확히 표현하면 SVB는 기업 고객들의 인출 요청이 계속되자 이에 응하기 위해 말씀하신 것처럼 자산의 일부를 처분해 현금화하면서(그래야 고객에게 예금을 돌려줄 수 있으니) 2조원 넘게 손실을 본 겁니다. 이런 손실 인식이 지속된 것이 아니라 한 차례 손실 인식을 한 뒤에 이를 메꾸기 위해 증자 계획을 발표하자 고객들의 불안이 커지면서 예금인출, 즉 뱅크런이 가속화되면서 파산에 이르게 된 것이죠.
"누구보다 금리 인상에 대한 시그널은 우리보다 먼저 알았을 터"
--> 그렇지 못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제가 글에서 언급한 바, SVB가 금리 인상 시그널을 먼저 알았다면 금리스왑 등 파생상품을 통해 헷징을 하던지 포트폴리오 조정을 미리미리 했을텐데, 그런 행동을 했다는 기록이 없습니다. 오히려 금리인상이 충분히 진행된 후에 뒤늦게 대처하다가 망한 케이스라고 평가하는게 더 적절합니다.
혹시나 다른 분들이 읽고 오해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부정확한 내용으로 보이는 것에 코멘트 드리니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권승준 @Fred Kim @데일리프로 @홈은
은행의 원리가 원래 그렇습니다. 은행의 유지하는 기본이 원래 "예대마진" 입니다. 일반 시민들의 예금을 받고 예들 들어 2% 이자 돌려주고.. 이렇게 받은 금액으로 기업들 및 부자들 대출을 빌려주고 이자를 5% 씩 받죠.. 이러면 3% 차액 남기는거.. 예금/대출 마진...
잘 아시겠지만 기본적으로 은행은 이 원리도 돌아가죠. 근데 SVB의 문제는 고객의 대부분이 개인 손님이 아니라 실리콘 밸리 중심의 스타트 업 기업 및 돈이 없는 기술 관련 기업들 이라는 것이 문제였죠.
금리 인상 시기.. 개인의 돈의 입금은 제한되고.. 수익의 주 원인인 기업의 대출도 당연히 줄고.. 오히려 기업 역시 인출을 하기 시작하죠.. 현금이 필요하니까요..직원들 월급 등등 때문에...게다가 미 국채에 투자한 것이 금리가 오름에 따라 가치가 떨어지자(즉 수익이 마이너스) 이중고 삼중고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게 파산이 난 이유 입니다.
정확하게는 기억이 안 나는데.. 국채 샀던 걸 27조 정도 팔았다고 하며.. 2조 원 넘게 마이너스가 났다고 합니다. 이런 것이 지속 되다보니 파산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말씀처럼 저금리를 오래 예상하지는 않았다고 저는 봅니다. 이미 2021년 부터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고 있었고, 가뜩이나 실리콘 밸리 쪽이고..은행인데.. 누구보다 금리인상에 대한 시그널은 우리보다 먼저 알았을 터...
다만 개인의 예금보다 기업 대출이 훨씬 많았던 것이.. 파산의 주 원인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다른 일반 은행도 미 국채는 모두 항상 많이 가지고 있죠...제일 많이 산 단체는 물론 wall street... 미국이 망하지 않는 한 원금은 항상 보장이 되니.. 물론 이런 중간에 일이 생기면 손해 보는 것은 감안 해야 할테고..
그리고 부자에게 혜택을 준다는 건 좀 너무 확대 해석이라고 봅니다.ㅋ 지금 현 상황에서는 당연히 구제를 해야 합니다.. 러-우 싸움 안 끝났고.. 미-중 무역 전쟁 중이고.. 우리나라 역시 중간에 끼여서 눈치 보고 있죠.. 미국에서 사건 하나 터지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겁니다.. 정치/경제를 떠나 이건 미 정부에서도 잘 한 일이라고 봅니다.
리먼 때의 실수를 반복하면 않되겠죠..이 얘기 까지하면 너무 길어지는데.. 여하튼 그냥 두고 보면 결국 우리나라도 더 힘들어 질테니...가뜩이나 스위스 2위 CS 은행도 몇 개월 전부터 자금력이 없다고 하죠.. 이런 상황으로 봤을 때, 우선 글로벌 금융 위기는 막는 것이 우선이라고 봅니다...
이것이 부자 및 부자 기업들 혜택 주는 것이랑 크게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있어도 아주 약간은 있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너무 한 쪽으로 치우친 생각은 위험하쥬?ㅋㅋ
제가 100% 맞지는 않으니.. 참고만 바랍니다~^^
@홈은 하이리스크 투자상품이라는게 뭘 말씀하시는걸까요? @데일리프로 SVB도 기본적으로는 저금리가 계속될 것이라는데 베팅했다가 큰 낭패를 본 것 같습니다. 저금리가 그렇게 빨리 끝날거라고 생각을 못 했겠지요. 많은 이들이 그러했듯이.
아주 쉽게 설명 잘해주셔 이해가 빠릅니다.
전 금리가 언젠가는 내려갈꺼다에 몰빵중인데 ㅎㅎ 여기는 반대로 했네요.
중요한건 언제까지... 인데.. 이걸 고려를 안했다는게.. 참...
시장 반응이 너무 상극이라 잘 모르겠어요. 16위 은행이니 괜찮다. 하이리스크 투자 상품으로 연결된 곳이 많을테니 위험하다. -_-;;;;
미 정부는 100% 보증을 하겠다고 나섰는데요, 국내 기관과 은행 등은 하이리스크 투자를 얼마나 했는지 잘 알려지지 않는 상황에서 이들의 투자금은 국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하는 궁금증은 있어요. 예금리 상승으로 분명히 하이리스크 투자를 감행한 곳들이 있을텐데 벤처 은행이 빠졌을 것 같진 않아요.
건전하면서도 위험한 자금 관리를 했네요. 은행 입장에서 피터틸의 행동과 같은 큰 예금 인출 이벤트를 헷징할 수단이 필요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권승준
네네.. 맞습니다.. 지적 하신 부분 동감하구요..제가 사실 정확한 분석은 하지 않았고. 이래저래 전문가 및 증권 방송 참고 하고 적었는데.. 저도 쓰다 보니 단어 하나하나에 신경을 못 썼는데요.. 하나씩 또 적으면 이게 또 논쟁이 되니..ㅋ
여하튼 제 의도는 승준님의 본글에.. SVB 구제 정책이 부자에게 더 유리하도록 구제를 했다..이런 논지에는 벗어나자는 추지이구요. 그리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제가 은행의 이익 구조를 부가적으로 설명한 것 뿐입니다.
사실은 내부자 아니면 이 사건의 정확한 흐름은 알 수가 없죠..기사가 정확하다는 증거도 없죠.. 그래서 저도 저도 100% 맞지 않다고 말씀드렸구요..
하지만 저는 아직도 그렇게 생각 합니다.. 저만의 생각일 수도 있는데요... 미국 현지 은행이 금리인상 시기를 대충이라도..적어도 우리보다 먼저 알았으면 알았지..뒤 늦게 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제가 작년 3월 금리인상 전에 미리 주식을 상당 부분 뺏거든요..타지에 있는 저같은 개미 투자자도 이렇게 대충이라도 행동하는데..실리콘 밸리 본사를 둔 은행이 전혀 모른다는 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구요.
제 생각엔 만약 미리 알았어도 이 정도 파산 될 정도로 심각하게 생각을 안 했거나...아니면 알았어도 대응을 잘 못한 것은 확실히 은행 잘못은 맞다는 데에는 동의 합니다.
사실 이것도 정답은 없죠. 생각의 차이일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