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작된 아날로그’와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 인형뽑기 놀이에 관하여
2024/04/06
‘조작된 아날로그’와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 인형뽑기 놀이에 관하여
인형뽑기는 부등가 교환거래의 기율을 디지털화 된 아날로그 기계장치의 활용을 통해 관철시킨다. 한국에서 유행하는 일반적인 인형뽑기 기계는 대부분 집게발을 이용해 경품을 집어 올리는 방식으로 설계돼 있다. ‘크레인’은 인형뽑기 기계의 가장 핵심적인 장치인 셈이다. 인형뽑기는 ‘레버’와 ‘버튼’ 조작을 통해 ‘크레인’으로 인형을 건져내는 놀이이다. 하지만 인형을 뽑아 건져내는 일은 사용자의 감각과 훈련을 통해서만 결정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사업주 측에서 대게 크레인의 집는 힘과 흔들림 정도 따위를 조작하기 때문이다.
과거 인형뽑기 기계의 작동방식은 집게발을 횡축, 종축 각 1회만 한정하여 움직일 수 있었다면, 현재는 좌우 움직임 횟수 제한이 없고 일정한 시간 내에만 동작을 완료하면 되므로 좀 더 세밀하게 집게발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뽑기의 성공은 크레인의 각도나 위치 조절 능력보다 집게발의 쥐는 힘에 달려있다. 소비자의 크레인 동작 능력보다 업주의 기계 확률 조작이 더 민감하게 영향을 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관행 하에 업주는 확률 조작을 통해 환원되는 이익의 기댓값을 스스로 조정하고 설계할 수 있다. 반면 소비자는 속절없이 요행에만 의존해 자본을 탕진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사내가 우리의 시선을 의식한 듯 지갑을 펼쳐 보이며 웃음을 터트렸어. 그러자 그를 감싸고 있는 모든 것들이 다 뽑기 상품처럼 보였어. (……) “물론 제일 현명한 것은 뽑기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사내가 기계 중아에 진열된 드론을 향해 봉을 날리며 말했어. “왜냐하면 이 기계처럼 정직한 기계는 드물기 때문이죠. 즉, 대부분의 뽑기 기계들은 상품이 쉽게 뽑히지 않도록 조작...
시리즈 글들이 일상에서 다르게 생각하기 힘을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강부원
우리는 현재 온통 디지털화된 아날로그 기계 장치들이 만들어내는 환상 속에 살고 있다. 인형뽑기로 대변되는 새로운 놀이가 단적인 사례이다. 유행이나 경제적 효과의 관점으로만 기술적 효과가 개입돼 생성된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평가하긴 어렵다. 변화하는 세계와 새로 등장하는 문화 콘텐츠에 대한 독해력을 섬세하게 키워나가야 필요가 있다.
라는 대목을 읽고는 영화 줄거리를 압축해서 보는 것이 독해력에 좋지 않다 어째써냐?
어떤 줄거리를 보고 이야기를 음미한다는 것은 여러 갈래로 생각해 본다는 것이다. 그걸 내려 놓으면 수동성과 즐거움 이외에 무엇이 남겠는가? 이런 느낌으로 말하면 되지 않을까 싶은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답글에 감사드립니다.
@최성욱 제 글이 그런 의미가 있었나요. ㅎㅎ 감사합니다.
@JACK alooker 인형뽑기 유행의 흐름을 쫒다보면 사업주들만 돈 벌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유투브에 영화 드라마 줄거리 압축본을 보고 그걸 보았다고 원작을 안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보았는데 전 납득은 안갔었는데 이제는 뭐라고 해야할지 감이 좀 오네요
잘 읽고 갑니다
워랜버핏처럼 인형뽑기 기계 자체를 사들여서 사업을 하거나 혼자 집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냥 인형뽑기 자체를 하지 않는 지혜를 잊지 않고 싶습니다.😉
유투브에 영화 드라마 줄거리 압축본을 보고 그걸 보았다고 원작을 안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보았는데 전 납득은 안갔었는데 이제는 뭐라고 해야할지 감이 좀 오네요
잘 읽고 갑니다
워랜버핏처럼 인형뽑기 기계 자체를 사들여서 사업을 하거나 혼자 집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냥 인형뽑기 자체를 하지 않는 지혜를 잊지 않고 싶습니다.😉
시리즈 글들이 일상에서 다르게 생각하기 힘을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강부원
우리는 현재 온통 디지털화된 아날로그 기계 장치들이 만들어내는 환상 속에 살고 있다. 인형뽑기로 대변되는 새로운 놀이가 단적인 사례이다. 유행이나 경제적 효과의 관점으로만 기술적 효과가 개입돼 생성된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평가하긴 어렵다. 변화하는 세계와 새로 등장하는 문화 콘텐츠에 대한 독해력을 섬세하게 키워나가야 필요가 있다.
라는 대목을 읽고는 영화 줄거리를 압축해서 보는 것이 독해력에 좋지 않다 어째써냐?
어떤 줄거리를 보고 이야기를 음미한다는 것은 여러 갈래로 생각해 본다는 것이다. 그걸 내려 놓으면 수동성과 즐거움 이외에 무엇이 남겠는가? 이런 느낌으로 말하면 되지 않을까 싶은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답글에 감사드립니다.
@최성욱 제 글이 그런 의미가 있었나요. ㅎㅎ 감사합니다.
@JACK alooker 인형뽑기 유행의 흐름을 쫒다보면 사업주들만 돈 벌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