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장자 아닌 죽은 세자 '동생'이 왕 되다

만만필 · 뭐든 글 써서 밥벌이 하는 사람
2023/07/23
[조선 왕실 암투사-예종]

조선시대에는 유교 예법까지 어겨가며 ‘비정상’의 방법으로 왕위에 오른 왕이 여럿 있는데, 이 왕들은 과연 자신의 왕위를 어떤 방식으로 물려주었을까. 
일단 지금까지의 경우에서 이 범주에 드는 왕은 ‘왕자의 난’으로 왕권을 찬탈한 태종이다. 태종은 정비 소생의 맏아들인 ‘적장자’ 원칙을 지켰다. 왕자 시절에 낳았지만, 왕이 된 이후 맏아들을 세자로 책봉하지 않았던가. 그래서 세조의 뒤를 이은 문종은 정통성 면에서는 그 어떤 시빗거리도 만들지 않았다. 그렇다면 이 범주에 드는 또 한 명의 왕 세조는 어땠을까. 
수양대군이 세조가 되었던 ‘계유정난’은 유교를 국교로 삼은 조선시대에 정말 ‘뜨거운 감자’였다. 이런 식의 ‘정난’이 과연 유교적 질서에 맞는 것인가. 특히 벼슬을 버리고 은둔한 사림들은 도무지 이런 정변을 이해할 수 없었다. 해서 숱하게 계유정난을 비판했다가 귀양 가는 일이 자주 일어났다. 그 유명한 사화(史禍)의 원인이 되기도 했고.
이런 사정이 있었기에 세조가 누구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을까 하는 점은 남다른 관심을 끌었을 것 같다.
조선시대에는 왕위계승과 관련해 왕 못지않게 왕의 부인도 어느 정도 지분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적자든 서자든 아들을 낳은 왕의 정비나 후궁의 입김이 막강했다. 특히 적장자의 어머니라면 그 권력은 하늘을 찌르고도 남을 정도였으리라. 세자로 책봉되고, 그리고 왕위를 오를 미래권력 아닌가. 
그런 점에서 세조 대의 왕실 분위기부터 살펴보는 것이 순서이다. 세조는 비교적 여자 문제에서는 크게 흠잡을 데 없는 것 같다. 후궁을 많이 두지도 않았거니와, 대신들이 권하면 여자를 좋아하지 않는다면 마다했다고 한다. 
세조에게는 정비인 정희왕후 말고 세 명의 후궁이 있었다. 근빈 박씨((謹嬪 朴氏)와 숙원 신씨, 그리고 소용 박씨. 근빈 박씨는 후궁 중 유일하게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다. 아마도 수양대군 시절에 첩으로 인연을 맺은 것 같다. 부모가 누구인지 알려지지 않았다. 항간에 박팽년의 누이라는 얘기가 돌았...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신문사와 잡지사에서 일했고, 역사에 관한 책을 쓰고, 영어 책을 우리말로 옮기고, 자서전 쓰기를 강의하며 산다. 요즘엔 밥벌이를 위해 자서전이나 에세이집 대필도 한다.
21
팔로워 73
팔로잉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