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는 유별나다

김내훈 · 작가
2023/03/17
최근에 주간경향 1518호에 실린 <여기도 ‘MZ’ 저기도 ‘MZ’>(https://weekly.khan.kr/3Xui) 라는 글을 읽었다. 한편으론 크게 공감하며 ‘와, 글 잘 썼다’라고 감탄하며 읽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이상하게 열이 받는 묘한 기분이 드는 글이었다.

어떤 청년들은 ‘MZ의 자격’조차 얻지 못한다. 지금 한국에서는 ‘인서울’ 대학을 나오고, 수도권에 살며, 적어도 대기업이나 공기업 사무직 정도는 돼야 비로소 ‘MZ’가 된다. 최상위 극히 일부인 그들의 목소리만이 ‘MZ의 요구’로 공론화되고, 오직 그들만 정부기관이 주최하는 ‘MZ와의 대화’ 행사에 초대된다.

‘MZ’라는 세대 호명에 관한 비판적인 논의는 이미 많다. 세대 내 개성이 너무나 뚜렷하기 때문에 집단으로 묶일 수 없다느니 게으른 호명이라느니 부정적 낙인의 기표라느니 하는 반론은 쉽게 접할 수 있어서 여기에 한 마디 더 얹는 것도 이제는 새삼스러운 일이 된 것 같다. 오히려 지금으로서는 ‘MZ세대론’에 대한 비판론이 워낙 많다 보니까 나는 좀 다른 이야기가 하고 싶어진다. 내가 MZ세대라서 그런 것일까?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토론소] MZ세대 정말 유별난 걸까요?>(https://alook.so/posts/LKta7yZ) 조사에서 나는 ‘MZ세대만의 유별남이 분명히 있다’ 항목에 체크했다. 조사 질문부터가 이미 ‘그렇지 않다’라는 답을 유도하기 때문에, 나와 같은 의견을 가진 사람이 20명도 안 된다는 사실은 놀랍지 않다. 답변 항목은 세 개지만, 사실상 ‘예/아니오’를 묻는 조사며, 조사에 응한 143명 중 125명은 ‘아니오’라고 답한 셈이다. ‘아니오’를 유도하는 질문에 괜히 열받아서 ‘예’를 고른 것일 수도 있다. 내가 MZ세대라서 그런 것일까?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다만 내가 ‘예’라고 대답한 것은 소위 ‘유별나다’라는 것이 세대적인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인 문제라고 생각해서 그렇다. 말인즉 지금 동시대를...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프로보커터>(2021), <급진의 20대>(2022)를 씀. <인싸를 죽여라>(2022)를 번역함.
4
팔로워 31
팔로잉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