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16
아동 동반을 금지하는 노키즈존의 존재나 O린이로 표상되는 아동 대상화 문제를 지적하면서
한국의 심각한 아동혐오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한국의 심각한 아동혐오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실제로 2019년 유엔아동권리위원회는 노키즈존의 존재 등의 이유로 한국의 아동권리협약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자리에서 “한국은 아동을 혐오하는 국가라는 인상을 받았다”는 지적을 한 바 있습니다.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205030158)
아동 혐오 정서가 극심한 저출산의 원인이다, 저출산이 극심한데 아동 혐오를 해서 되겠냐는 지적도 보이지요.
다 맞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담론들은 아동 혐오정서를 단순 개탄하거나, 노키즈존이나 아동 대상화 표현을 규제할지 아닐지에 대한 논쟁을 벗어나지 못한 게 많았습니다.
하지만 아동 혐오 문제를 논하기 이전 꼭 해야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아동을 기피하고 대상화하는 경향성이 왜 최근에 새로 등장했을까요?
개인적으로는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 문화 없이는 설명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인터넷이 혐오문화를 불러일으킨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제가 이야기하고 싶은 건,
인터넷 문화에서 아동이 다른 사회 집단과 마찬가지로 밈으로서 그리고 이미지로서 소비되는 문제입니다.
'귀엽고 사랑스럽고 순수한' 아동에 대한 긍정적인 밈이든,
'식당에서 함부로 돌아다니고 게임에서 개념없이 굴고 촉법소년 규정을 악용한다는'
아동에 대한 부정을 넘어 혐오정서를 담은 밈이든,
밈과 이미지로서 아동들이 소비되는 것은 현실과의 괴리로 왜곡된 상을 불러일으킵니다.
밈은 밈, 이미지는 이미지일 뿐 그 자체로 실재가 될 수 없습니다.
우선 부정적인 이미지부터 지적하자면,
게임판에서 예의 지키고 범죄나 일탈과 무관하게 지내는 아동들도 많습니다.
식당에 함부로 안 돌아다니고 조용히 있는 아동들도 있고요.
설령 불완전한 존재더라도 인간의 성장 도중이라는 특성도 감안해야 하고요.
괜히 미성년자들이 교육 및 교정과정이 성인과 분리되고,...
아동 혐오 정서가 극심한 저출산의 원인이다, 저출산이 극심한데 아동 혐오를 해서 되겠냐는 지적도 보이지요.
다 맞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담론들은 아동 혐오정서를 단순 개탄하거나, 노키즈존이나 아동 대상화 표현을 규제할지 아닐지에 대한 논쟁을 벗어나지 못한 게 많았습니다.
하지만 아동 혐오 문제를 논하기 이전 꼭 해야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아동을 기피하고 대상화하는 경향성이 왜 최근에 새로 등장했을까요?
개인적으로는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 문화 없이는 설명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인터넷이 혐오문화를 불러일으킨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제가 이야기하고 싶은 건,
인터넷 문화에서 아동이 다른 사회 집단과 마찬가지로 밈으로서 그리고 이미지로서 소비되는 문제입니다.
'귀엽고 사랑스럽고 순수한' 아동에 대한 긍정적인 밈이든,
'식당에서 함부로 돌아다니고 게임에서 개념없이 굴고 촉법소년 규정을 악용한다는'
아동에 대한 부정을 넘어 혐오정서를 담은 밈이든,
밈과 이미지로서 아동들이 소비되는 것은 현실과의 괴리로 왜곡된 상을 불러일으킵니다.
밈은 밈, 이미지는 이미지일 뿐 그 자체로 실재가 될 수 없습니다.
우선 부정적인 이미지부터 지적하자면,
게임판에서 예의 지키고 범죄나 일탈과 무관하게 지내는 아동들도 많습니다.
식당에 함부로 안 돌아다니고 조용히 있는 아동들도 있고요.
설령 불완전한 존재더라도 인간의 성장 도중이라는 특성도 감안해야 하고요.
괜히 미성년자들이 교육 및 교정과정이 성인과 분리되고,...
중요한 주제와 관점을 거론하려는 박사과정생.
의견은 다를지라도 대화하면서 많은 걸 배우는 사람이라는 평판을 갖고 싶습니다. 이메일: ybk0423@gmail.com
@홈은 동의합니다. 너무 아동을 대상화하다보니 진짜 아동이 어떤 존재, 그들의 감수성이 어떤지 감각이 희미해지는 것 같아요.
글에는 안 썼지만 오래 전부터 알고지낸 아이 둘 둔 분이 있는데, 그 아이들은 정말 예쁘고 사랑스럽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을 볼 때마다 행복하지만, 뜬금없이 울고 시끄럽게 굴어서 당황스러울 순간도 많았습니다. 내 아이들을 사랑해준다며 칭찬도 많이 들었는데, 그런 저조차 그런 생각을 하게 되는 게 아이들입니다 ㅎㅎ 지켜보기만 해도 힘든데 아이 옆에서 재우고 밥먹이고 우는 거 달래고 기저귀 가는 부모들은 얼마나 힘들지..
좋은 지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동 관련 표현은 혐오의 뉘앙스를 품고 있는 단어들을 별 생각없이. 써도 괜찮은 사회적 분위기가 문제라고 생각해요. 그런 분위기가 어떻게 만들어졌을지를 고민해보면 고착화한 아동의 이미지와 맞닿아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필요에 따라 청년들을 Mz 세대로 묶어 비난의 대상으로 삼기도 하는 것처럼 어린이들을 싸잡아 ‘쟤들은 저래’ 라고 보는 일반화가 때로는 문제를 만들기도 하는 것 같아요.
한편으로는 이런 경우도 있었어요. 예전에 김소영 작가의 ‘어린이라는 세계’를 읽고 감동했다면서 우리 동네엔 왜 그런 존중받을만한 어린이가 없는지를 토로하는 청년을 만나서 당황했던 기억이 납니다. 매체에 등장하는 어린이의 이미지를
표준이라 여기며 현실에서 만나는 어린이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을 보고 놀랐어요. 일반화의 기준이 특수한 사례일수도 있다는 점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노키즈존은 한 번 당해번 아이들은 생각보다 꽤 깊게 상처를 받기도 해요. ‘원래 거부당하며 크는 것이 인생이다’라고 말하면 할 말은 없지만요…… ‘-린이’ 표현도 그렇고 노키즈존도 그렇고 당사자들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꽤 폭력적인 사안들이라고 봅니다.
@송지연 저도 노키즈존이나 'O린이'가 엄청난 아동혐오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아동혐오보다는 아동을 이미지화, 대상화해서 소비하는 게 진짜 문제이지요.
-린이, 는 그냥 초보자, 저숙련자를 뜻하는 신조어 합성어라고 생각했어요. 아동혐오라기보다.. ex. 헬린이..ㅎㅎ 노키즈존도 사업장의 특성에 따라 있을 수 있다 싶기도 했고.
물론 이미지 시대 + 저출생 시대의 아동에 대한 인식 관련된, 글의 전체적인 취지에는 공감이 됩니다.
좋은 지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동 관련 표현은 혐오의 뉘앙스를 품고 있는 단어들을 별 생각없이. 써도 괜찮은 사회적 분위기가 문제라고 생각해요. 그런 분위기가 어떻게 만들어졌을지를 고민해보면 고착화한 아동의 이미지와 맞닿아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필요에 따라 청년들을 Mz 세대로 묶어 비난의 대상으로 삼기도 하는 것처럼 어린이들을 싸잡아 ‘쟤들은 저래’ 라고 보는 일반화가 때로는 문제를 만들기도 하는 것 같아요.
한편으로는 이런 경우도 있었어요. 예전에 김소영 작가의 ‘어린이라는 세계’를 읽고 감동했다면서 우리 동네엔 왜 그런 존중받을만한 어린이가 없는지를 토로하는 청년을 만나서 당황했던 기억이 납니다. 매체에 등장하는 어린이의 이미지를
표준이라 여기며 현실에서 만나는 어린이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을 보고 놀랐어요. 일반화의 기준이 특수한 사례일수도 있다는 점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노키즈존은 한 번 당해번 아이들은 생각보다 꽤 깊게 상처를 받기도 해요. ‘원래 거부당하며 크는 것이 인생이다’라고 말하면 할 말은 없지만요…… ‘-린이’ 표현도 그렇고 노키즈존도 그렇고 당사자들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꽤 폭력적인 사안들이라고 봅니다.
@송지연 저도 노키즈존이나 'O린이'가 엄청난 아동혐오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아동혐오보다는 아동을 이미지화, 대상화해서 소비하는 게 진짜 문제이지요.
-린이, 는 그냥 초보자, 저숙련자를 뜻하는 신조어 합성어라고 생각했어요. 아동혐오라기보다.. ex. 헬린이..ㅎㅎ 노키즈존도 사업장의 특성에 따라 있을 수 있다 싶기도 했고.
물론 이미지 시대 + 저출생 시대의 아동에 대한 인식 관련된, 글의 전체적인 취지에는 공감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