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중독과 비슷한 정부의 대북 인식 방식

문경환
문경환 · 기자, 출판인
2024/03/14
신원식 국방부장관이 2월 26일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의 정찰위성에 관한 질문에 “만리경-1호가 궤도를 돌고 있다는 신호는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다. 그러나 일을 하는 징후는 없다. 일없이 돌고 있다”라고 답변했습니다.
   
또 “(만리경-1호는) 정찰도 하지 않고 지상과 통신 중계도 하지 않는데, 그냥 돌고는 있다”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네덜란드 델프트 공대 소속 인공위성 전문가 마르코 랑브룩 박사는 2월 27일 자신의 블로그에 만리경-1호 궤도가 바뀌었다고 소개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2월 19~24일 만리경-1호가 다섯 차례에 걸쳐 근지점(인공위성 궤도 중 지구와 가까운 지점) 고도를 올렸고, 원지점(인공위성 궤도 중 지구와 먼 지점) 고도를 낮춰 전체 궤도가 타원형에서 원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조정되었다는 것입니다. 
   
랑브룩 박사는 미군 주도의 다국적 연합우주작전센터(CSpOC)의 자료를 토대로 이같이 분석한 후 “북한이 위성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라고 했습니다. 
   
즉, 지상과 통신 중계를 하지 않는다는 신원식 장관의 주장과 달리 지상에서 정찰위성을 조종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 관련 내용을 다룬 중앙일보 기사. © 중앙일보
   
북한의 우주기술 역량과 전자기전 능력은 미국에서도 인정하고 있습니다. 
   
스티븐 와이팅 미 우주사령부 사령관은 2월 29일 상원 군사위 청문회에 출석해 “북한은 우리 우주 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자기전 역량을 보여줬다”라며 “우리는 북한...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한반도 문제에 관심이 많은 인터넷 언론사 기자. 1인출판사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146
팔로워 43
팔로잉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