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玄)’과 ‘명(明)’ - 사회주의자의 자기 증명 - 최명익, 「심문」

강부원
강부원 인증된 계정 · 잡식성 인문학자
2023/12/09
1930년대 하얼빈의 모습. 하얼빈은 일제의 감시를 피해 이주한 조선 사회주의자들의 주요 활동지이기도 했다. 출처-중앙공론

‘현(玄)’과 ‘명(明)’ - 사회주의자의 자기 증명 - 최명익, 「심문」
   
「심문」은 삼 년 전에 죽은 아내 ‘혜숙’을 잊지 못하는 ‘나(김명일)’가 기차를 타고 하얼빈으로 가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하얼빈을 향해 달리는 기차의 속도는 ‘나’에게 “새로운 감각을 불러일으켜 주”는 것만 같다. 마치 “한 터취의 오일같이 캔버스 위에 부딪쳐서 한 폭 그림이 될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사실 화가인 ‘나’는 “어느 중학교의 도화 선생도 그만두고” “무직업자”와 다를 바 없이 살아오며 “십 여년 간 살아오던 집도 팔아 버리고” 이제 “일정한 주소”조차 없는 처지였다. 하얼빈 행을 택한 이유는 하얼빈에 있는 “옛친구이자 착실한 실업가로 성공”한 ‘이군’을 “배워” 다시 “일정한 직업과 주소를 갖게 될지 모를” “포부”를 다시 갖게 될 기대감 때문이었다. 

사실 이제 기차는 “무슨 대단하거나 신기로운 관찰은 물론 아니요” 하얼빈 행이 “멀리 또 고향을 떠나는 길도 아니라 슬픈 착각”을 굳이 할 이유도 없는 것이었다. 하지만 「심문」의 전반부에 과장하듯 채워져 있는 ‘승차 모티프’에 대한 서술은 ‘나’의 이동의 의미를 극대화 하기 위한 전략에 가깝다. 조선을 떠나 하얼빈으로 간다는 사실 자체에 방점을 찍고 승차 감각의 과도한 표현을 이해해야 한다. 

즉, 기차를 통해 느끼는 심리적 변화는 이제 자연 발생적이라기보다 공간 이동의 과정에서 스스로가 의도한 어떤 의례에 가까운 절차였다. 1930년대 후반 기차는 식민지 조선의 도시인들에게 더 이상 신기한 대상은 아니었다. 오히려 국경을 넘는 일의 절차-직업과 신분을 증명하고, 세관을 치르는 등-에 따른 감정상의 동요라고 말하는 편이 더 타당해 보인다. 하얼빈행 기차를 타기 위해 자신의 삶을 일순간에 획시기적으로 증명해...
강부원
강부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옛날 신문과 오래된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입니다.학교와 광장을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을 만나오고 있습니다.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고 싶습니다.
172
팔로워 2.2K
팔로잉 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