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에너지 위기가 친환경 시대를 견인하기 어려운 이유

서준수
서준수 · 꿈꾸는 현실주의자
2022/03/16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당선 이후로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은 정치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인한 에너지 수급 불안정으로 국제 원유가격이 배럴 당 100 달러를 넘어서며 최고 139 달러에 이르렀다. 2008년 이후 최고치로 올라간 수준이다. 이 영향으로 3월 15일부터 국내 휘발유 전국 평균 가격은 리터 당 2000원을 넘어섰고, 특히 수도권에서는 체감하는 가격은 2100에 육박한다. 미국에서도 3월 7일 휘발유 가격이 갤런 당 4.196 달러(리터 당 약 1330원)을 기록하여 2020년 11월 2.2달러를 기록한 시점부터 지금까지 두 배 가까이 상승하고 있다(EIA). 

미국, 사우디 아라비아, 러시아, 캐나다, 중국 등 5개국은 세계 원유 생산의 54%를 차지하고 있다(Investopedia). 여기서 러시아의 전쟁 선택과 그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세계 곳곳의 일상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세계 원유 생산량 1위를 차지하는 미국은 큰 변동이 없이 생산이 하루 1200만 배럴 미만으로 정체되어있다. 원유를 증산하여 에너지 위기를 극복하는 다소 쉬워보이는 이 방법은 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Photo by Zbynek Burival on Unsplash
첫째, 에너지 기업들이 생산 확대 대신, 자본 지출을 억제하고 잉여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옮겨갔기 때문이다. 이는 과거 유가전쟁부터 상기할 필요가 있다. 셰일 혁명으로 미국은 단숨에 세계 최고의 산유국이 되었다. 이 지각변동은 사우디 아라비아 등 전통 산유국들과 미국과의 경쟁으로 나타나 원유 과잉공급으로 유가가 폭락하기도 했다. 주요 산유국들이 원유 생산을 줄이더라도...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Ph. D. in International Relations
51
팔로워 192
팔로잉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