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결의 세상에서 소수로 살아가는 법

ESC
ESC 인증된 계정 ·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
2023/01/16
일러스트: 박재령

얼마 전에 치른 제20대 대통령 선거 기억나시나요? 당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고작 0.73% 득표율의 차이로 당선되었습니다. 선거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이루고, 다수결의 원칙으로 결과를 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주 근소한 차이더라도 윤석열 후보가 더 많은 표를 얻었기에 당선된 것이죠. 선거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사람들은 자신들의 의견이 정치에 반영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목소리를 낼 것입니다. 이번 대선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비등비등하게 득표했기에 이재명 후보를 지지한 사람들이 목소리를 내는 게 그리 어렵지 않을 거예요. 만약 윤석열 후보가 압도적 득표 차로 당선되었다면 이재명 후보를 뽑은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자신들의 의견을 정치에 반영할 수 있을까요? 오늘 소개해 드릴 논문[1]은 이런 사회학적인 질문을 복잡계 연구로 풀어냈습니다.

얼죽아가 뜨죽따가 되는 과정(?)

소수의 의견이 다수의 의견을 전복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인원(critical mass)은 사회 동역학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주제입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에서 이 최소한의 인원은 전체의 10%에서 40%로 다양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렇게 넓은 범위의 인원은 모형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습니다. 그중 한 연구는 소수 의견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고집’에 따라 그 비율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2]. 오늘 소개해 드릴 논문은 이 ‘고집’을 절대적으로 설정했습니다. 즉, 소수 의견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끝까지 자신들의 신념을 고수합니다.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 집중합니다. 첫 번째, 사람들이 사회적 영향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입니다. 사회적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면 사회적 합의를 이룬 의견에만 동의합니다. 만약 사회적 영향에 민감하지 않다면, 사회적 합의를 이루지 않은 의견도 타당하게 여길 수 있습니다. 두 번째,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과학기술인 시민단체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ESC)'는 과학적 사고와 합리성이 한국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및 문화 활동을 전개하고 시민사회와 연대하여 한국사회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는 일에 동참합니다.
119
팔로워 1.1K
팔로잉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