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뷰
지역에 산다는 것
나 같아도 조선소 안 갑니다 - 윤석열 정부가 놓친 진짜 위험 신호
2023/01/17
2023년에도 조선소는 인력난을 겪을 예정이다. 대우조선은 일손이 6천명 부족하고, 삼성 중공업 또한 3천명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한다.
2022년 2월 19일,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거제도 유세 현장에서 말했다. “대우조선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겠습니다.”, 대통령 취임 후 한 달도 되지 않아 대우조선 하청 노동자들이 파업했다. 윤석열 정부가 보여 준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는 전략은 2가지. 말 안 듣는 하청 노동자 법으로 때려잡기, 부족 인력 외국인 노동자로 메꿔넣기였다. 전략은 보기 좋게 실패했다. 하청 노동자들 입에 재갈은 물려 놨는데 정작 외국인 노동자를 못 데려왔다.
조선소는 지금 일감이 넘친다. 해운 시황도 좋고 한화의 대우조선 인수로 분위기도 들떴다. 하지만 겉포장을 벗겨보면 복마전이 따로 없다. 이대로 방치한다면 조선소로 아무도 안 갈 것이다.
경남 창원에서 5년 동안 용접사로 일했다. 경력이 쌓일수록 불량은 덜 내고 물량도 더 많이 뽑았지만 시급은 최저임금 언저리에서 꿈쩍하질 않았다. 2020년 첫 급여 명세서를 받아보니 실수령액이 200만원도 안 됐다. 쉬는 시간에 월급 가지고 투덜대자 정년 퇴임한 지 2년째인 영감님이 말했다. “여기 오래 있지 마라. 용접은 물 위에서 해야 제 값 받는다.” 그때부터 조선소 용접사로 거듭나기 위해 차곡차곡 준비했다. 기능장 자격증을 공부했고 필기 합격까지 했다. 그런데 요즘 조선소 돌아가는 모양새를 보면 갈 마음이 싹 사라진다.
조선업은 건설업과 육체 노동의 양대산맥이다. 일 자체가 건강과 돈을 맞바꾸는 일이다. 납기일도 짧아 잔...
한편으로는 왜 더불어민주당은 집권당 시절에 미봉책에 그치고 진도를 내지 못했을까도 생각하게 되네요. 윤석열이 되게 크게 잘못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정치권 전반에 걸쳐있는 육체노동의 경력인정에 대한 인식이 잘못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요. 시급성도 느끼지 못하고 절박함에 대한 공감능력도 떨어지고요.
전 이런 글 보면 지금 정권보다는 이 지경까지 끌고 오면서 다른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노력한 정치권 전반의 문제점을 자꾸 떠올리게 됩니다. 정파적 논리도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하지만 정파를 떠나 진짜 노동자 입장에서 의문을 제기하고 정책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의사결정 집단에 노동자가 별로 없는 구조적 문제를 함께 제기해야 한다고 봅니다.
학벌중심 사회가 공고한 이유는 이러저러한 잘 알려진 이유도 있지만 이면에는 유학생 규모가 작고 소멸 직전의 지방을 살리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이전과 함께 지방대학을 유지할 수 있는 지방대학생들이 존재해야 하고, 그러려면 대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아져야 한다는 문제도 얽혀있다고 보거든요. 조선업에 관해서도 너무 해당자들의 입장에서만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거든요. 좀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넓은 관점에서의 다양한 이야기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보는 입장에서도 너무 속상한데 당사자들의 심정은 어떨지 생각만 해도 슬픕니다. 보다 근본적인 부분에서 하나씩 조율해 나갈 필요를 느껴요. 결과는 이렇게 나왔지만 원인은 너무 많잖아요. 그런데 개인이나 기업의 이해만을 바라고 있는 것은 너무 안일한 태도로 보여집니다. 심지어 국가의 명령마저 불합리하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조선업계 숙련기술자들에 대한 처우 개선이 왜 나에게, 나의 회사에 도움이 되는지를 쉽게 설명하고 다수의 공감대를 끌어낼 수 있는 설명도 필요할 거 같아요.
이번 정부의 특징 중 하나는 여론이 거세지면 '아, 그거 실수..'라고 말을 뒤집는 거잖아요. 그 장점(?????)을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를 고민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숙련 노동자를 이따위로 대접하는 걸 보면 경영자들이 자기 사업의 근간이 어디에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는 듯 합니다.
A급 용접사 월급이 200인 실정에 명절 휴가비, 여름 휴가비로 퉁쳐버리고 끝나버린 파업.. 문득 궁금합니다. 왜 그렇게 제값을 안주려고 할까요. 왜 어떤 문제가 있는지 관심을 안가지는 걸까요. 어떤 생각인지 궁금하네요.
한편으로는 왜 더불어민주당은 집권당 시절에 미봉책에 그치고 진도를 내지 못했을까도 생각하게 되네요. 윤석열이 되게 크게 잘못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정치권 전반에 걸쳐있는 육체노동의 경력인정에 대한 인식이 잘못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요. 시급성도 느끼지 못하고 절박함에 대한 공감능력도 떨어지고요.
전 이런 글 보면 지금 정권보다는 이 지경까지 끌고 오면서 다른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노력한 정치권 전반의 문제점을 자꾸 떠올리게 됩니다. 정파적 논리도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하지만 정파를 떠나 진짜 노동자 입장에서 의문을 제기하고 정책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의사결정 집단에 노동자가 별로 없는 구조적 문제를 함께 제기해야 한다고 봅니다.
학벌중심 사회가 공고한 이유는 이러저러한 잘 알려진 이유도 있지만 이면에는 유학생 규모가 작고 소멸 직전의 지방을 살리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이전과 함께 지방대학을 유지할 수 있는 지방대학생들이 존재해야 하고, 그러려면 대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아져야 한다는 문제도 얽혀있다고 보거든요. 조선업에 관해서도 너무 해당자들의 입장에서만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거든요. 좀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넓은 관점에서의 다양한 이야기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보는 입장에서도 너무 속상한데 당사자들의 심정은 어떨지 생각만 해도 슬픕니다. 보다 근본적인 부분에서 하나씩 조율해 나갈 필요를 느껴요. 결과는 이렇게 나왔지만 원인은 너무 많잖아요. 그런데 개인이나 기업의 이해만을 바라고 있는 것은 너무 안일한 태도로 보여집니다. 심지어 국가의 명령마저 불합리하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조선업계 숙련기술자들에 대한 처우 개선이 왜 나에게, 나의 회사에 도움이 되는지를 쉽게 설명하고 다수의 공감대를 끌어낼 수 있는 설명도 필요할 거 같아요.
이번 정부의 특징 중 하나는 여론이 거세지면 '아, 그거 실수..'라고 말을 뒤집는 거잖아요. 그 장점(?????)을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를 고민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숙련 노동자를 이따위로 대접하는 걸 보면 경영자들이 자기 사업의 근간이 어디에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는 듯 합니다.
A급 용접사 월급이 200인 실정에 명절 휴가비, 여름 휴가비로 퉁쳐버리고 끝나버린 파업.. 문득 궁금합니다. 왜 그렇게 제값을 안주려고 할까요. 왜 어떤 문제가 있는지 관심을 안가지는 걸까요. 어떤 생각인지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