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하는 남북관계, 거꾸로 가는 한반도 '평화복지국가'

수월
수월 · 시골에서 책 읽고 글쓰기
2023/12/31
새해를 몇 시간 앞두고 두 개의 뉴스를 연달아 보면서 한숨이 나왔다. 한반도의 통일은 차치하고서라도 이 불안정한 공존의 질서마저 깨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더 나아가 이대로 가면 그냥 파멸할지도 모른다는 절망감이 엄습했다.

뉴스1. 쪼개진 한반도

12월 31일 테슬라의 최고 경영자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에 한반도 위성 사진을 게재했다. 북쪽은 캄캄하고 남쪽은 환한 사진은 남과 북의 차이를 극단적으로 보여준다. 머스크는 사진에 "미친 아이디어 : 한 국가를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체제로 반씩 쪼개 70년 뒤 모습을 확인해보자"라는 문구를 달았다. 머스크는 남북 분단 70년에 빗대어 공산주의의 쇠퇴와 몰락을 풍자하려고 한 것 같다.

머스크의 의도 따위는 중요치 않다. '미친 아이디어' 운운하며 가십꺼리로 만들어버린 한반도의 남과 북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유일한 분단국가이다. 위성사진처럼 동질성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완전히 다른 두 세계가 고착화되었다. 진짜 중요하고도 엄중한 현실은 이것이다. 이 분단체제라는 것은 언제 전쟁이 터져도 전혀 이상할 것 없는 사실상의 전쟁 체제이며, 극단적인 대립과 갈등이 내면화 된 체제이다. 전쟁과 대립의 소용돌이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고 사라졌고 고통받았다.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게시물

뉴스2. 적대적 관계로의 퇴행

북한의 김정은 총비서는 12월 26~30일에 열린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9차 전원회의에서 "북남관계는 더 이상 동족 관계, 동질 관계가 아닌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 전쟁 중에 있는 두 교전국 관계로 완전히 고착됐다"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남...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7
팔로워 13
팔로잉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