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01
정답이 없는 인생에서 정답과 기준만을 좇으라 배운 청년들이기 때문입니다. 지금 청년들은 10대 이전부터 '이렇게 사는게 성공이다' '이만큼 벌어야 부자다' '이런 직업을 얻어야 명예롭다'는 사회적 기준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으며 자라왔습니다. 그래서 저도 만약 '성공하는 직업' 또는 '성공한 인생'이라는 주제를 생각하면 머릿속에 바로 그려지는 모습이 있습니다. 그만큼 너무 당연하게 주입된 것이겠죠.
개인적으로 제가 20대로서 취업에 대해 힘들었던 부분은 내 꿈과 사회적 기준에 대한 괴리감이 컸습니다. 제가 좋아하고, 갖고 싶던 직업과 성공은 사회적 기준과 멀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저는 카페 직원으로서의 역할을 다 하는 것이 좋고 심지어 재능도 있어서 잘 할 수있는데, 제가 얼마나 그 일에 만족하며 열심을 다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사람들은 그저 진입장벽 낮은 일, 알바생, 누구나 할 수 있는 일 그 이상으로 봐주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제 취향과 재능, 성향과 너무 잘 맞는 일이어도 사회적 기준으로 명예롭지 않으면 저를 아랫사람으로 보거나 함부로 대하는 경우도 많아 그 점이 정말 힘들었습니다.
본인이 원한다면 20대 초반에도 정직원을 할 수 있고, 30대 초반에도 아르바이트생으로 살 수도 있는 건데 사회적 시선을 견디기 어려워 직업을 구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심했...
개인적으로 제가 20대로서 취업에 대해 힘들었던 부분은 내 꿈과 사회적 기준에 대한 괴리감이 컸습니다. 제가 좋아하고, 갖고 싶던 직업과 성공은 사회적 기준과 멀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저는 카페 직원으로서의 역할을 다 하는 것이 좋고 심지어 재능도 있어서 잘 할 수있는데, 제가 얼마나 그 일에 만족하며 열심을 다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사람들은 그저 진입장벽 낮은 일, 알바생, 누구나 할 수 있는 일 그 이상으로 봐주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제 취향과 재능, 성향과 너무 잘 맞는 일이어도 사회적 기준으로 명예롭지 않으면 저를 아랫사람으로 보거나 함부로 대하는 경우도 많아 그 점이 정말 힘들었습니다.
본인이 원한다면 20대 초반에도 정직원을 할 수 있고, 30대 초반에도 아르바이트생으로 살 수도 있는 건데 사회적 시선을 견디기 어려워 직업을 구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심했...